달러 약세·공급 불확실성 속 국제유가 상승…WTI·휘발유 동반 강세

WTI 원유(9월물)·RBOB 휘발유(9월물) 가격이 6일(현지시간) 장중 동반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9월 인도분은 배럴당 0.66달러(1.01%) 오른 66.00달러 선을 기록했고, 9월물 RBOB 휘발유갤런당 0.0353달러(1.69%) 상승했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Nasdaq.com) 보도에 따르면, 이날 유가 반등의 1차적 배경은 달러화 약세다. 세계 외환시장에서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DXY 달러인덱스가 1주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달러 표시 자산인 원유 투자 매력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지정학적 변수도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 특사 제프리 위트코프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 별다른 진전을 이루지 못한 채 모스크바를 떠났고, 이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에너지 수출에 대한 2차 제재(secondary sanctions)를 확대할 가능성이 거론됐다. 투자은행 JP모간체이스는 트리플디짓(세 자릿수)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이미 여유가 부족한 OPEC+의 잔여 증산 여력으로는 시장 충격을 흡수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사 아람코공식판매가격(OSP) 인상도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아람코는 9월 선적분 아랍라이트의 아시아 고객 대상 가격을 배럴당 1달러 인상했다. 시장 예상치(0.90달러 인상)를 웃도는 결정으로, 아시아 수요 강세를 시사한다는 평가다.

WTI Chart

EIA(미국 에너지정보청)주간 재고 통계매수세를 자극했다. 8월 1일 기준 원유 재고는 전주 대비 303만 배럴 감소해 시장 전망치(-260만 배럴)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휘발유 재고 역시 130만 배럴 줄어 예상치(-100만 배럴)를 하회했고, 디젤 등 중간유분 재고는 예상(+81만 배럴 증가)과 달리 56만5천 배럴 감소했다. 다만 쿠싱 허브 재고가 45만3천 배럴 늘어난 점은 일부 부담 요인으로 남았다.

같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상업용 원유 재고는 계절 평균 대비 6.5% 낮았고, 휘발유·중간유분 재고는 각각 0.3%·16.1% 낮았다. 미국 주간 원유 생산량은 하루 1,328만4천 배럴로 전주 대비 0.2% 감소했으며, 작년 12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1,363만1천 배럴)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다.

RBOB Chart

한편, Baker Hughes 집계에 따르면 8월 1일 기준 미국 가동 원유 시추기는 410기로, 3.75년 만의 최저치다. 2022년 12월 627기에서 2년 반 동안 급감해 공급 측 타이트(tight)함을 더했다.

“원유·제품 재고가 동반 감소한 가운데, 사우디·미국의 공급 불확실성이 맞물려 유가가 단기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OPEC+는 9월 1일부터 일일 54만7천 배럴 추가 증산을 승인했다. 2년간 유지해 온 감산을 되돌리기 위한 조치로, 2026년 9월까지 총 220만 배럴의 생산 회복을 목표로 한다. 다만 수요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해 필요 시 증산분을 철회하거나 중단했던 물량을 재가동할 수 있다는 단서를 남겼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글로벌 재고가 하루 평균 100만 배럴씩 축적 중이며, 2025년 4분기에는 수요 대비 공급 과잉이 소비량의 1.5%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추가 대(對)러 제재를 단행했다. 20개 러시아 은행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망에서 차단하고, 러시아가 지분을 보유한 인도 정유사까지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러시아 “그늘선단”(shadow fleet) 소속 선박 105척을 추가 제재하면서, 제재 대상 선박은 총 400척을 넘어섰다.

영국 해운조사 업체 보텍사(Vortexa)7일 이상 정박한 부유식 저장 탱커의 원유 적재량이 8월 1주 7,912만 배럴로 전주 대비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타이트한 현물 공급 상황을 뒷받침한다.

전문가 해설: 달러인덱스(DXY)·2차 제재·OPEC+
DXY는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가중평균한 지수다. 통상 달러가 약세면 원유·금 등 달러 표시 자산 가격은 상대적으로 상승 압력을 받는다.
2차 제재란, 제재 대상국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금융기관까지 제재하는 조치다. 에너지 시장에서 시행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 광범위한 파급을 일으킨다.
OPEC+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13개국과 러시아 등 10개 비(非)OPEC 산유국 연합체다.


기자의 시각: 현 재고·정책 흐름만 놓고 보면 유가는 단기적으로 70달러 선을 재시도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다만, 달러 강세 복귀IEA가 제시한 중기 공급 과잉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연말에는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들은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