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 여파에 커피 선물가 하락…로부스타 1주 최저치 기록

달러 인덱스(DXY) 강세가 원자재 시장 전반에 압박을 가하면서 커피 선물가격이 동반 하락했다. 3월물 ICE 아라비카 커피(KCH24)는 전일 대비 -2.30센트(-1.18%) 하락했고, 3월물 ICE 로부스타 커피(RMH24)는 -26달러(-0.76%) 떨어지며 1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5년 10월 31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달러 인덱스는 7주래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며 상당수 농산물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통상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달러 표시 상품의 상대 가격 부담이 커져 수요가 위축되는 구조다.

브라질 수출 전망 상향이 즉각적인 부담으로 작용했다. 전날 브라질 커피 수출업체 협회 코멕심(Comexim)은 2023/24연도 브라질 커피 수출 전망치를 4,190만 포대에서 4,490만 포대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기존 예상치보다 8%가량 늘어난 수치로, 공급 과잉 우려를 자극했다.

주목

그러나 ‘극심한 건조(Excessive Dry)’ 기상 조건은 아라비카 시세를 일정 부분 떠받치고 있다. 브라질 기상 컨설팅사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최대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주가 최근 일주일간 기록한 강수량은 25mm로 평년치의 53%에 그쳤다. 미나스제라이스는 브라질 아라비카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커피 원두 이미지

재고 부족이 여전히 강세 요인이다. ICE가 모니터링하는 로부스타 재고는 2,778 로트로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으며, 아라비카 재고도 11월 30일 224,066포대로 24년 만의 최저치까지 줄었다가 최근 261,893포대로 소폭 늘어났을 뿐이다.

반면 베트남의 수출 물량 확대는 로부스타 가격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베트남 통계총국(GSO)은 1월 커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47.6% 증가한 21만 톤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베트남은 전 세계 로부스타 최대 생산·수출국이다.

주목

다만 홍해 항로에서 발생한 후티 반군(Houthi)의 상선 공격으로 운송 비용과 기간이 급등하면서, 주요 로부스타 구매자들이 베트남산 계약을 기피하고 상대적으로 물류 리스크가 낮은 브라질산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는 점은 공급 불확실성을 확대한다.


브라질·베트남 생산 전망과 가격 영향

베트남 세관총국(GDC)은 2023년(1~12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8.7% 감소한 162만 톤에 그쳤다고 밝혔다. 베트남 농업부는 2023/24년 생산량165만6,000톤으로 4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베트남 커피협회(Vicofa) 역시 2023/24 생산량을 160만~170만 톤으로 하향 전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브라질 국영 농업통계기관 코나브(Conab)는 2024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5.4% 증가한 5,810만 포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브라질은 격년 주기의 ‘풍년·흉년’ 패턴을 보이는데, 2024년이 생산성 정점에 해당하는 ‘온(ON)년’에 들어선다는 설명이다.

수출 흐름도 두드러진다. 브라질 커피수출업체협회 세카페(Cecafe)는 12월 녹색 커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31% 급증한 378만 포대라고 밝혔다. 브라질 무역부 역시 12월 비(非)로스팅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33.7% 증가한 244만 톤이라고 발표했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1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4.1% 증가한 1,061만 포대, 10~11월 누적 수출이 3.1% 증가한 2,025만 포대라고 집계했다.


엘니뇨·기상 변수와 수급 전망

올해 엘니뇨(El Niño) 현상은 브라질에 폭우, 인도에 가뭄을 동반해 생육 환경에 변수를 던질 것으로 관측된다. 베트남 기상·수문·기후변화연구소는 2024년 초까지 엘니뇨 영향으로 베트남 주요 커피 산지에 가뭄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ICO는 2023/24 글로벌 생산이 전년 대비 5.8% 증가한 1억7,800만 포대, 소비는 2.2% 증가한 1억7,700만 포대100만 포대 규모의 잉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 농무부 해외농업국(USDA FAS)도 12월 반기 보고서에서 2023/24 세계 생산을 4.2% 늘어난 1억7,140만 포대로 추정하면서도, 로부스타 생산은 -3.3% 감소한 7,410만 포대로 전망했다.

특히 USDA FAS는 2023/24 기말 재고를 전년 대비 4.0% 줄어든 2,650만 포대로 전망했다. 브라질의 아라비카 생산은 12.8% 증가한 4,490만 포대, 콜롬비아 생산은 7.5% 증가한 1,150만 포대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 시각 및 향후 체크포인트

① 달러 방향성 — DXY가 7주 고점을 돌파하면서 원자재 전반의 가격 탄력성을 제약하고 있다. 미 연준(Fed)의 금리 기조와 경제 지표 방향이 커피 시세에 간접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② 재고 흐름 — ICE 재고가 역사적 저점인 만큼, 단기적으로는 약세 재료가 소진될 경우 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③ 주요 산지 기상 — 브라질, 베트남 모두 기후 리스크가 잠재돼 있어, 향후 강우·온도 추이가 가격 재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④ 물류·지정학 변수 — 홍해 무력 충돌이 해운비와 운송 기간을 자극하며 특정 산지산 원두의 지역 프리미엄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

※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차이
아라비카(Arabica)는 향미가 풍부하지만 병충해와 기후 변화에 취약하며, 로부스타(Robusta)는 카페인이 높고 재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두 품종의 가격 차이는 품질·수급·환율 등 복합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