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선물시장 코코아 가격, 달러 반등 여파로 하락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12월물 ICE 뉴욕 코코아 선물(CCZ24)은 전일 대비 -52달러(-0.73%) 밀려 1t당 7,091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같은 월물 ICE 런던 코코아 선물(CAZ24) 역시 -5파운드(-0.10%) 하락한 4,731파운드를 기록하고 있다.
달러 인덱스가 1주 최저치에서 급반등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통상적으로 달러 가치가 오르면 상품(Commodity) 가격은 약세를 보이는데, 이날 투자자들은 보유 중이던 롱(매수) 포지션을 대거 정리(롱 리퀴데이션)하면서 코코아 선물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반면 ICE가 미국 항만에 보관 중인 코코아 재고가 2,420,443포대로 15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점은 공급 타이트 우려를 부각시키며 장 초반 가격을 끌어올렸다. 그러나 달러 강세 효과가 더 컸다.
서아프리카 기상 여건 변화가 가격 방향성 좌우
지난 23일(수) 뉴욕 코코아는 4주래 최저, 런던 코코아는 6개월 반 만의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는 서아프리카산 코코아 벨트에 집중호우가 내리며 생산 전망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날 나이지리아의 7월 코코아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1% 급증(17,456t)했다는 보도가 가격을 추가로 압박했다. 나이지리아는 세계 6위의 코코아 생산국이다.
건조·병해로 인한 최대 생산국들의 생산 감소 경고
이에 앞선 22일(월) 뉴욕 코코아 가격은 서아프리카의 극심한 건조 전망에 2개월여 만의 고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기상 예측업체 맥사(Maxar) 테크놀로지스는 “코트디부아르·가나에서 지난 한 달간 강수량이 급감, 토양 수분이 평년 이하로 떨어져 작황 성장에 제한이 있다”고 진단했다.
코트디부아르 정부 자료에 따르면, 2023/24 시즌(작년 10월 1일~올해 9월 1일) 누적 선적 물량이 170만t으로 전년 대비 28% 급감했다. 세계 1위 생산국의 출하 감소는 가격 지지 요인이다.
2위 생산국 가나의 국영 코코아위원회(Cocobod)도 8월 20일 “2024/25 시즌 생산량 전망치를 70만t→65만t으로 하향 조정”했다. 전년(2023/24) 생산량은 23년 만의 최저치인 42만5,000t에 그쳤는데, 기상 악화와 카드벌트병 등 병해충 피해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카메룬·나이지리아 증산, 상승 압력 일부 상쇄
반면 세계 5위 생산국 카메룬은 8월 21일, 2023/24 시즌(8~7월) 생산량이 1.2% 증가(266,725t)했다고 발표, 증산 기대가 커지며 일부 상승 압력을 희석했다.
수요 측면에서, 지난 7월 18일 미국 전미제과협회(NCA)는 북미 Q2 코코아 그라인딩(가공) 실적이 전년 대비 2.2% 증가(104,781t)했다고 발표했다. 아시아(-1.4%)·유럽(+4.1%)도 예상보다 양호해, 전 세계 초콜릿·제과 소비 회복세가 확인됐다.
국제 코코아기구(ICCO) ‘46년 만의 최저 재고비율’ 경고
ICCO는 8월 30일 보고서에서 2023/24 글로벌 코코아 공급 부족 규모를 46만2,000t으로 상향했다(5월 전망치 43만9,000t). 생산 전망도 4,461만t→4,330만t으로 낮췄으며, 재고/가공 비율이 27.4%로 46년 만의 최저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 압력이 누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용어 풀이: Long Liquidation
선물시장에서 ‘롱’(Long)은 자산 가격 상승을 기대하고 매수 포지션을 보유하는 전략을, ‘롱 리퀴데이션’은 해당 포지션을 매도해 청산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주로 가격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거나 반대 변수(예: 달러 강세)가 발생할 때 나타난다.
전문가 진단
단기적으로는 미 달러 지수(DXY) 흐름이 가격 변동성을 주도할 전망이다. 다만 구조적으로는 기후 리스크·병해·낮은 재고율로 인해 상승압력이 우세하다는 견해가 시장의 중장기 컨센서스다. 일부 트레이더들은 “연말까지 뉴욕 코코아가 8,000달러 선을 재차 테스트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본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인물·기관·숫자는 원문을 그대로 옮긴 것이며, 정보 제공 목적이다. 라이선스·투자 자문이 아님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