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폰 유센 가부시키가이샤(Nippon Yusen Kabushiki Kaisha, NYK)가 2025 회계연도 상반기(1H) 실적에서 순이익과 영업이익의 두 자릿수 하락을 보고하고, 연간 순이익·영업이익 전망을 하향 조정했으나 연간 매출 전망은 유지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에 도쿄증시에서 주가는 약 4% 하락해 4,895엔 수준에서 거래됐다다.
2025년 11월 6일, RTTNews 보도에 따르면, 일본 해운사 닛폰유센(도쿄증권거래소: 9101.T; OTC: NPNYY, NYUKF)은 상반기 실적에서 매출 둔화와 이익 급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회사는 같은 발표에서 회계연도 기준 연간 순이익과 영업이익 가이던스를 낮췄으나, 연간 매출 수익 전망은 종전 수준을 유지했다다.
상반기(1H) 실적 상세에 따르면, 지배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은 전년 동기 2,658.9억 엔에서 1,022.5억 엔으로 61.5% 급감했다다. 기본주당이익(EPS(기본))은 585.60엔에서 239.34엔으로 낮아졌고, 영업이익도 1,156.3억 엔에서 680.5억 엔으로 41.2% 감소했다다. 매출 수익은 1조 3,200억 엔에서 1조 1,800억 엔으로 10.2% 줄었다다.
연간 전망(회계연도 종료: 2026년 3월 31일)에서 회사는 지배주주순이익을 전년 대비 56% 감소한 2,100억 엔으로 제시했고, 이에 따른 주당이익은 495.07엔으로 전망했다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3.1% 감소한 1,200억 엔으로 제시했다다. 이는 종전 가이던스였던 지배주주순이익 2,400억 엔, 영업이익 1,400억 엔에서 각각 하향한 것이다다. 다만,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9.2% 감소한 2조 3,500억 엔으로 종전 전망을 유지했다다.
핵심 수치 요약 — 상반기: 매출 1.18조 엔(-10.2%), 영업이익 680.5억 엔(-41.2%), 지배주주순이익 1,022.5억 엔(-61.5%), EPS 239.34엔. 연간(2026년 3월 31일 종료): 매출 2.35조 엔(-9.2%), 영업이익 1,200억 엔(-43.1%), 지배주주순이익 2,100억 엔(-56%), EPS 495.07엔. 종전 가이던스 대비: 순이익 2,400억→2,100억, 영업이익 1,400억→1,200억.
주가 반응 측면에서, 도쿄에서 닛폰유센 주가는 보도 시점에 약 4% 하락해 4,895.00엔에서 거래됐다다. 이는 실적 부진 및 연간 이익 가이던스 하향에 대한 시장의 민감한 반응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다.
핵심 용어 해설을 통해 수치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다. 지배주주에게 귀속되는 이익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모회사 주주에게 배분되는 순이익을 의미한다다. 기본주당이익(EPS)은 당기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 수익성을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다. 영업이익은 본업에서 발생한 이익을 뜻하며, 매출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등 영업비용을 차감해 산출한다다. 또한 회계연도 종료일(2026년 3월 31일) 표기는 해당 기간을 기준으로 회사가 연간 실적을 계산·보고한다는 의미다다.
전망과 시사점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매출 전망을 유지하면서도 이익 전망을 하향했다는 점이다다. 이는 단순 매출 규모보다 수익성(마진)이 더 큰 압박을 받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다. 상반기 기준 매출 감소 폭(-10.2%) 대비 영업이익(-41.2%)과 순이익(-61.5%)의 감소 폭이 더 컸다는 점도 같은 메시지를 강화한다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연간 EPS 495.07엔이라는 수치가 밸류에이션 재산정의 기준점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향후 분기 실적에서 비용 구조·운임 사이클·선대 효율 등 수익성 변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다.
티커 및 표기: 본 기사에 등장하는 티커 9101.T는 도쿄증시 상장 종목 코드를, NPNYY와 NYUKF는 해외 장외(OTC) 증권 식별자를 각각 뜻한다다. 투자자는 거래 시장과 종목 코드를 구분해 참고할 필요가 있다다.
요약 정리: 닛폰유센은 상반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했으며, 특히 순이익이 60% 이상 감소했다다. 이에 따라 회사는 연간 순이익과 영업이익 가이던스를 하향했지만, 매출 가이던스는 유지했다다. 발표 직후 도쿄증시에서 주가는 약 4% 하락했다다. 향후 관전 포인트는 수익성 방어와 가이던스 달성 경로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