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수 동향]
미국 시간으로 29일(금) 뉴욕 증시는 S&P 500 지수가 전일 대비 -0.64% 하락한 채 마감했고,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0.20%, 나스닥 100 지수는 -1.22% 떨어졌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6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31% 하락해 현물 지수 낙폭을 뒷받침했다.
2025년 8월 3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주식시장은 대형 기술주의 급락이 지수 전반을 끌어내렸다. 특히 마벨 테크놀로지가 2분기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전망치 미흡으로 -18% 급락하며 반도체 전반을 압박했고, 델 테크놀로지스 역시 인공지능(AI) 서버 부문의 수익성 악화로 -8% 넘게 떨어져 컴퓨터 하드웨어 업종을 끌어내렸다.
“데이터센터 매출 부진은 당사 기대치를 밑돌았다.” – 마벨 테크놀로지 실적 발표문 중
투자자들은 기술 섹터의 마진 압박과 성장 둔화 가능성을 동시에 우려하며 리스크 회피 성향을 강화했다.
거시지표와 연준 통화정책
소비·물가 지표
• 7월 개인소비지출(PCE) 근원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9%로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연준 목표치(2%)를 상회했다.
• 같은 달 개인소비는 전월 대비 +0.5% 증가해 4개월 만의 최대폭을 보였다.
• 7월 개인소득 역시 +0.4% 늘어나 시장 전망과 부합했다.
심리지표
• 8월 MNI 시카고 PMI는 41.5로 전월 대비 5.6포인트 급락, 예상치(46.0)를 크게 하회했다.
•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58.2로 잠정치(58.6) 대비 하향 수정됐다.
•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8%(잠정 4.9%)로,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5%(잠정 3.9%)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연준 인사 발언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9월 FOMC에서 25bp(0.25%p) 인하를 지지한다”며 추가 인하 가능성을 3~6개월 내로 점쳤다.
•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조만간 정책을 재조정할 시점”이라고 밝혀 비둘기파(완화 선호) 스탠스를 드러냈다.
관세(타리프) 리스크 확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디지털세에 대응해 첨단기술·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그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소비재 400여 품목으로 확대했으며,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한다고 예고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시행 시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추산한다.
채권·금리 동향
10년물 미 재무부채권 수익률은 4.227%로 2.4bp 상승했다. 같은 만기 독일 국채금리는 2.724%(+2.9bp), 영국 길트금리는 4.722%(+2.2bp)를 기록했다. 독일 8월 CPI가 예상(2.0%)을 웃도는 2.1%로 발표돼 유로존 채권시장에 매도 압력이 가중됐다.
참고 용어 해설1
1MNI 시카고 PMI는 미국 중서부 제조업 경기 체감지수를 뜻하며 50 이상이면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 국면을 의미한다.
섹터·종목별 움직임
반도체주
마벨 테크놀로지 -18%, 램리서치 -4% 이상, 브로드컴·엔비디아·AMD -3% 이상 하락. ARM·ASML·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KLA·인텔·온세미·마이크론도 -2% 이상 동반 약세.
컴퓨터 하드웨어
델 테크놀로지스 -8% 이상, 슈퍼마이크로 컴퓨터 -5% 이상,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2% 이상 하락.
소비재·기타
울타뷰티 -7%, 캐터필러 -3%(관세 여파 18억 달러 경고), 달러제너럴 -2% 등 약세.
반면 오토데스크 +9%, 암바렐라 +16%, 어펌 +10%, 센티넬원 +6%, 셀시어스 홀딩스 +5% 등 실적 호조주가 선전했다.
헬스케어는 방어적 매수세로 모리나 헬스케어 +3%, 유나이티드헬스그룹 +2% 등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주요 실적·전망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2분기 이익 증가율은 +9.1% YoY로, 어닝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상회하며 4년 만의 최고 실적을 기록 중이다. 보고를 마친 95% 기업 중 82%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
향후 실적 발표(9월 2일 예정)
아카데미 스포츠&아웃도어즈, 헬스이퀴티, 사인넷 주얼러스, 지스케일러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8%, 10월 28~29일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 언급된 모든 종목과 지표 데이터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투자 조언에 해당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