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환경 동향] 미국 가계가 자동차 대출과 모기지 리파이낸싱(재융자)을 신청할 때 직면하던 거절률이 급감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Fed)이 공개한 최신 소비자 기대 설문조사(Survey of Consumer Expectations·SCE)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모기지 리파이낸싱 신청 거절률은 15%로 떨어져 2013년 조사 시작 이래 최악이었던 2025년 2월(42%) 대비 대폭 개선됐다.
2025년 7월 21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뉴욕 연은은 같은 기간 자동차 대출 거절률 역시 14%에서 7%로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금리 고점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에서도 특정 소비 신용 부문에서 실질적인 문턱 완화가 확인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체 신용 신청·거절 동향을 살펴보면, 지난 1년간 가계의 총신용 신청 건수와 거절률은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일부 세부 항목에서 뚜렷한 변동이 나타났다는 것이 이번 조사 결과의 핵심이다.
“거절을 예상해 아예 신청을 포기한 기피 차주(discouraged borrowers) 비중은 2월 8.5%에서 6월 7.2%로 낮아졌지만, 2024년 6월 5.5%보다 여전히 높다.” — 뉴욕 연은 보고서
‘기피 차주’란 금융기관이 대출을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신청 자체를 미루는 소비자를 뜻한다. 이 지표는 잠재적 수요와 신용시장 체감 심리를 동시에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로 평가된다.
한편, 가계의 비상지출 충격 흡수 능력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갑작스러운 2,000달러(약 270만 원) 지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인식했음에도, 이를 감당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 역시 함께 상승했다. 이는 가계 현금흐름이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한다.
금리 환경과 시장 해석
최근 연방준비제도(FOMC)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정책금리를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금리는 신용공급을 위축시켜 대출 승인 확률을 떨어뜨리지만, 이번 조사 결과는 소극적이던 금융기관이 일부 부문에서 태도를 완화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1재융자 거절률 급감은 모기지 금리 스프레드가 정상화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한다. 다만 신용카드·학자금 대출 등 다른 영역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비자 기대 설문조사(SCE)란?
SCE는 뉴욕 연은이 매월 실시하는 온라인 패널 조사로, 인플레이션 기대, 노동시장 전망, 소비·저축 계획, 신용 접근성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특히 물가 전망 지표에 주목하지만, 신용 접근성 서브지수는 가계의 체감 경기를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전문가 인사이트
① 모기지 리파이낸싱 거절률 급감은 주택시장에 잠재적 호재다. 기존 고금리 대출을 낮은 금리로 바꿀 수 있게 되면 주택 보유자의 가처분소득이 확대돼 소비 여력이 강화된다.
② 자동차 대출 승인률 상승은 자동차 판매 회복세와 직결될 수 있다. 다만 자동차 가격이 고점 근처에 머물러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경기 둔화 시 부실 리스크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③ 기피 차주 비중이 여전히 과거 평균(약 5% 안팎)을 상회한다는 점은, 일부 계층이 여전히 ‘신용 사각지대’에 놓여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뉴욕 연은 보고서는 “현재 소비자 부채 전반에 일부 스트레스가 감지되지만, 총체적인 건전성은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고금리가 자동차·주택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지만, 신용 배분 과정에서 질적 심사가 강화되면서 연체율 급등은 제한됐다”고 덧붙였다.
금리 동결이 장기화될 경우 은행들의 수익성 방어 차원에서 위험선호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연착륙이 가시화되면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문턱도 순차적으로 낮아질 것”이라며 “다만 인플레이션이 재차 고조되면 긴축 기조가 연장돼, 이번에 나타난 완화 흐름이 일시적 반등에 그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종합 평가
결국 이번 조사 결과는 고금리 환경에서도 신용 공급의 최악 국면이 지나갔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 노동시장 탄력성,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신용 여건의 방향성이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