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공화국·미국 무역갈등 심화]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을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노력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이는 미국이 남아공산 수출품에 대해 30%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시한인 오는 8월 1일(금요일)을 불과 며칠 앞둔 시점에서 나온 공식 입장이다.
2025년 7월 29일, 로이터통신 (Reuters)의 보도에 따르면, 남아공 무역·산업·경쟁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
현재 우리 측은 "협정 초안의 최종 지위(final status)에 대해 미국 측의 실질적인 피드백(substantive feedback)"을 아직 기다리고 있다
”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관세 발효 전까지 양자 간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라고 덧붙였다.
이번 관세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추진해온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통상 정책의 연장선에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양국 관계가 악화된 배경에는 남아공의 인종(인종 불평등 해소) 관련 국내 정책과 이스라엘을 상대로 한 남아공의 집단학살(genocide) 제소가 자리 잡고 있다. 이스라엘 정부는 해당 제소 내용을 전면 부인하고 있으며, 워싱턴도 남아공의 이 같은 외교적 행보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 왔다.
30% 관세의 파급력
30%라는 고율 관세는 남아공의 대미 수출 경쟁력을 단박에 떨어뜨릴 수 있다. 예컨대 광물·귀금속·자동차 부품 등 현재 미국으로 향하는 주요 품목은 가격 인상 압박을 피하기 어렵다. 국내 산업계 관계자들은 “관세가 실제로 부과되면 수출 단가 상승→물량 감소→고용 위축이라는 악순환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배경 설명: ‘집단학살 제소’란?
남아공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을 상대로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에 대한 국제법상 집단학살 혐의를 제소했다. 집단학살은 ‘특정 민족·인종·종교 집단을 전부 또는 일부 파괴할 의도로 행해진 행위’를 의미한다. 이스라엘과 미국은 “근거 없는 정치적 공세”라고 반발하고 있다.
전문가 시각
필자는 무역갈등이 금세 해소되기 어렵다고 본다. 첫째, 정치·외교 변수가 무역 분야로 전이되면서 본질적 이해관계가 복잡해졌다. 둘째, 미국은 국내 산업 보호와 대외 협상력 극대화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셋째, 남아공 역시 2024년 총선 이후 인종경제정책(B-BBEE 등)을 더욱 강화하고 있어, 미국이 요구하는 ‘시장 접근성 개선’과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시나리오
1) 협상 타결① — 관세 발효 직전 극적 합의가 이뤄질 경우 일시적 안도 랠리가 가능하다. 미국은 남아공이 일부 시장 개방·투명성 조항을 수용하는 대가로 관세 부과를 유예(standstill)할 수 있다.
2) 관세 발효② — 합의 없이 시한이 지나면 관세가 자동 적용된다. 이 경우 남아공 기업들은 공급선을 유럽·아시아로 다변화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3) 부분적 타협③ — 일정 품목에 한해 관세율을 낮추거나 점진적 철폐 로드맵을 설정하는 ‘스몰딜’ 가능성도 거론된다.
시장·투자 관점 체크포인트
① 환율 — 관세발효 우려로 최근 남아공 랜드(ZAR)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 ② 금리 — 수출 둔화가 현실화되면 성장률 전망이 낮아져 남아공중앙은행(SARB)의 금리 결정에도 변수가 될 수 있다. ③ 산업별 영향 — 광물·자동차부품·농산물 업종은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내수 서비스업은 직접적 영향이 제한적이다.
결론 및 전망
이번 협상은 단순한 무역 이슈를 넘어 외교적 신뢰 회복이라는 난제를 안고 있다. 남아공 정부가 ‘국가주권’과 ‘경제 이해’를 모두 충족시키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미국 역시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지정학적 교두보를 유지하려면 남아공과의 관계 악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결국 관세 시계를 멈출 수 있을지 여부는 48시간 남짓 남은 협상 테이블에서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