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실적 호조·연준 금리 인하 기대에 뉴욕 증시 상승

미국 주식시장 주요 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SPX)는 0.73% 상승 마감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18% 올랐다. 나스닥100 지수(IUXX)는 1.29% 뛰었다. 선물시장에서는 9월물 E-미니 S&P 선물이 0.72%,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이 1.21% 각각 상승했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랠리는 기업 실적 호조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금리 인하 기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아리스타 네트웍스(Arista Networks)가 17% 넘게 급등했고, 매치그룹(Match Group)도 10% 이상 뛰면서 시장 심리를 끌어올렸다.

Barchart 로고※ 위 이미지는 Barchart 사이트의 공식 로고이며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시각 자료다.


1. 기업 뉴스가 주가 상승 견인

아리스타 네트웍스는 3분기 매출 전망(22억5,000만 달러)​이 시장 예상치(21억3,000만 달러)를 뛰어넘자 17% 이상 급등했다. 매치그룹 역시 3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9억1,000만~9억2,000만 달러로 제시해 주가가 10% 넘게 올랐다. 애플(Apple)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내 제조에 1,000억 달러를 추가 투입할 것”이라고 밝힌 직후 5% 상승하며 대형 기술주 랠리를 주도했다.

이 밖에도 아스테라 랩스(+27%), 링센트럴(+25%), 쇼피파이(+21%), 어슈어런트(+11%) 등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18%), AMD(-6%), 스냅(-17%) 등 일부 기술·소비주가 실적 부진으로 큰 폭 하락했다.


2. 연준 금리 인하 기대 확대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업 지수가 예상 밖으로 둔화된 가운데, 7월 고용·제조업 지표도 약세를 보이면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25bp(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이 95%로 급등했다(지난주 40%).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경제가 둔화되고 있어 연방기금금리 조정이 머지않아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도 “7월 고용지표의 하향 수정은 경기 사이클의 전환점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비슷한 견해를 내놨다.

모기지은행협회(MBA) 자료에 따르면 8월 1일로 끝난 주간 모기지 신청지수는 3.1% 상승했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는 6.77%로 전주 대비 0.06%p 하락해 주택시장 부담을 일부 덜었다.


3. 관세 정책 불확실성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인도산 수입품 관세율을 25%에서 50%로 상향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향후 1주일 내 반도체·제약 제품 관세를 추가로 공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지난주에는 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를 35%로 올리고, 전 세계에 10% 글로벌 최소 관세·흑자국 15% 이상 관세를 8월 7일 0시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분석에 따르면, 모든 조치가 그대로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한다.


4. 채권 시장 및 해외 증시 동향

10년 만기 미 국채(9월물)는 2틱 하락해 금리가 4.216%로 0.6bp 상승했다. 42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입찰에서 응찰률(빌드-투-커버 레이시오)이 2.35로 최근 10회 평균(2.58)을 밑도는 등 수요 부진이 확인됐다.

빌드-투-커버(Bid-to-Cover) 비율이란 입찰 금액 대비 실제 응찰 금액의 비율로, 2.0 이상이면 양호, 그 이하로 떨어지면 수요 약화로 해석된다.

유로존 10년물 독일 국채 금리는 2.6bp 상승한 2.650%를, 영국 길트금리는 1.0bp 오른 4.526%를 각각 기록했다. 한편 유로존 6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3% 증가해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독일 6월 공장수주는 1.0% 감소하며 5개월 만에 최대 폭 하락을 나타냈다.

오스트리아 출신 ECB 이사회의 로버트 홀츠만 위원은 “추가 인하를 단행할 이유가 보이지 않는다”며 동결 기조를 시사했고, 이에 따라 스와프 시장은 9월 ECB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확률을 13%로 낮게 반영했다.


5. S&P 500 2분기 실적 트렌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결과, 67%의 S&P 500 기업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중 83%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EPS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9.1%로 4년 만에 최대폭이며,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상회한다.

시장에서는 목요일(8일) 발표될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예상 22만1,000건)와 2분기 비농업 생산성·단위 노동비용 지표가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에 추가 단서를 제공할지 주목하고 있다.


6. 개별 종목별 변동 현황

상승 TOP 종목
• 아스테라 랩스 +27% (2분기 총마진 76%)
• 링센트럴 +25% (EPS 상향)
• 쇼피파이 +21% (매출 서프라이즈)
• 아리스타 네트웍스 +17% (3분기 가이던스 상향)
• 애플 +5% (1,000억 달러 투자 계획)

하락 TOP 종목
•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18% (매출 미달)
• AMD -6% (EPS·중국 매출 불확실성)
• 스냅 -17% (매출 미스)
• Vertex -19% (가이던스 하향)
• 다비타 -9% (투석 건수 감소)


7. 향후 일정 및 시장 전망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 95%,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인하 확률 68%를 반영하고 있다. 실적 시즌 막바지인 이번 주 후반에는 엘리 릴리(Eli Lilly), 컨트리버 뮤직 기업 라이브네이션(Live Nation), 엑스피디아(Expedia) 등 대형주 발표가 예정돼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기업 실적은 견조하나, 관세 리스크와 경기 모멘텀 둔화가 공존해 변동성 확대국면이 재개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투자자라면 △달러 강세 지속 여부 △원자재 가격 흐름 △모기지 금리 추이를 함께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