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3대 지수 모두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마감 무렵에는 흐름이 엇갈렸다. 4일(현지시간)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1% 오른 5,000.00포인트로 종가 기준 최고치를 새로 썼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51% 상승한 40,000.00포인트로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100 지수는 -0.43% 하락해 17,000선 아래로 밀렸다. 같은 시각 12월물 E-mini S&P 500 선물은 +0.01% 오르며 강보합권을, 12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44% 떨어지며 약세를 나타냈다.
2025년 10월 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에는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인프라 관련주가 급등세를 이끌었다. 시장은 AI 분야의 고성장이 곧 기업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에 힘입어 대형 기술주를 매수했지만, 상승 동력은 오래가지 못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4bp 급등해 4.12%를 기록하자 금리 민감도가 높은 기술주에 롱 리퀴데이션(long-liquidation) 물량이 쏟아졌다. 시카고 연은 오스턴 굴스비 총재와 댈러스 연은 로리 로건 총재가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며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을 내놓은 것이 금리 상승폭을 키웠다.
E-mini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형 주가지수 선물로, 정규 선물 대비 계약 규모가 1/5 수준이어서 기관은 물론 개인도 폭넓게 거래한다.
장중 반등 폭을 축소시킨 또 다른 요인은 9월 ISM 서비스업 지수 부진이다. 해당 지수는 50.0으로 4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시장 예상치인 51.7을 하회했다. 같은 달 서비스업 물가를 나타내는 가격지불지수(Prices Paid)는 오히려 69.4로 전월보다 0.2포인트 올라 인플레이션 압력이 식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더불어 미 연방정부 셧다운(3일째)에 따른 불확실성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정부 기능 일부가 멈추면서 4일 예정됐던 9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되지 않았고, 10월 15일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주요 지표도 지연될 수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셧다운이 지속될 경우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 휴직에 들어가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반면 같은 날 발표된 9월 S&P 글로벌 종합 PMI는 53.6에서 53.9로 상향 수정돼 경기 둔화 우려를 일부 상쇄했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수축을 가늠하는 지표다.
PMI(Purchasing Managers’ Index)는 기업 구매관리자 설문을 토대로 경기를 선행적으로 보여준다.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이하면 수축 국면으로 해석된다.
굴스비 총재는 “최근 인플레이션 반등과 고용 둔화를 감안할 때, 연준이 섣불리 금리 인하 일정을 앞당겨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고, 로건 총재도 “물가가 목표치(2%)에서 여전히 멀리 떨어져 있어 추가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 실적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22% 이상이 3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다. S&P 기업의 3분기 EPS(주당순이익)는 전년 동기 대비 +6.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5월 말 추정치(+6.7%)를 웃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오는 10월 28~29일 FOMC에서 25bp 인하가 단행될 확률 98%을 반영하고 있다.
해외 증시도 대체로 강세였다. 유로스톡스50은 +0.10% 상승 마감했으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춘절 연휴로 휴장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1주일래 최고치로 +1.85% 상승했다.
채권시장에서는 12월 만기 10년물 T-노트 선물이 -8틱 하락 마감, 수익률은 4.119%로 3.6bp 올랐다. 장 초반 ISM 지수 부진으로 일시적으로 4.077%까지 내려갔지만, 연준 인사들의 매파 발언과 서비스업 물가 상승이 다시 매도세를 부추겼다.
유럽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독일 10년물은 2.698%로 0.2bp, 영국 10년물은 4.690%로 2bp 각각 내렸다. 유로존 9월 P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0.6%로 9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ECB 집행이사 피에르 윈슈는 “현재 정책금리는 2% 물가목표 달성을 위한 완벽한 조정”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스왑금리는 10월 30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1% 미만으로 반영 중이다.
주요 업종·종목 동향
건강보험주는 Humana(+10%↑)가 2025년 실적 가이던스를 재확인하면서 급등했고, Centene(+5%↑)·Cigna(+4%↑)·Molina(+3%↑)·Elevance(+3%↑) 등이 동반 상승했다. UnitedHealth도 다우 지수를 견인하며 1% 넘게 올랐다.
Fair Isaac(FICO)는 모기지 리셀러에게 신용점수를 직접 판매하겠다고 밝힌 영향으로 전일 17% 급등세를 이어 +3% 추가 상승했다. 물류업체 Knight-Swift는 Stifel의 투자의견 상향으로 3% 넘게 올랐다.
Zillow(부동산 플랫폼), Freeport-McMoRan(광산), Entergy(전력), Occidental Petroleum(정유) 등도 나란히 증권사 ‘매수’ 혹은 ‘아웃퍼폼’ 추천을 받으며 1~2%대 상승 마감했다.
반면, 마카오 카지노 관련주는 중국 황금연휴(Golden Week) 초기 관광객 수가 기대에 못 미쳤다는 씨티그룹 분석으로 약세를 보였다. Wynn Resorts, Las Vegas Sands는 7% 이상 급락했고, MGM Resorts도 2% 넘게 밀렸다.
주요 AI 인프라·반도체주도 장 후반 약세로 돌아섰다. KLA(-3%), Applied Materials(-2%)는 미 상무부의 신규 규제로 2026 회계연도 매출이 6억 달러 감소할 것이라고 밝힌 여파가 컸다. AMD·Intel·Texas Instruments도 1~2% 하락했다.
Magnificent Seven은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알파벳·메타·엔비디아·테슬라 등 미국 증시를 주도하는 7대 대형 기술주를 일컫는 용어다.
이날 ‘매그니피션트 세븐’ 중 메타(-2%↓), 테슬라(-1%↓), 아마존(-1%↓), 엔비디아(-0.67%↓)가 일제히 약세를 보이며 나스닥 하락을 부추겼다.
Palantir Technologies는 미 육군 메모에서 ‘근본적인 보안 결함’ 지적이 나오면서 7% 급락, S&P500·나스닥100 최다 하락 종목이 됐다. Hecla Mining은 Roth Capital이 ‘매도’로 강등해 1% 약세였다.
한편 6일 장 마감 후 Aehr Test Systems와 Constellation Brands가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