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약세에 뉴욕 증시 혼조 마감… S&P 500, 1.5주 만에 최저치

뉴욕증시가 ‘기술주 약세’라는 한 가지 키워드에 발목이 잡혔다. 20일(현지시간)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4% 하락했고, 나스닥100 지수는 0.58% 떨어져 2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04% 올라 혼조세를 보였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29% 내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64% 빠졌다. 전날부터 이어진 기술주 중심 매도세가 이날도 지수 전반을 끌어내렸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cent Seven)’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주(Chip Stocks)가 동반 약세를 보이며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은 애플·알파벳(구글)·아마존·테슬라·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엔비디아를 말한다. 이들 7개 종목은 시가총액 측면에서 뉴욕 증시의 흐름을 좌우하는 상징적 그룹으로, 일각에선 ‘지수의 기둥’이라 불린다.


주요 지수 및 기업 동향

• 대형 기술주
애플, 알파벳, 아마존, 테슬라 주가는 모두 1% 이상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0.79%), 메타 플랫폼스(-0.50%), 엔비디아(-0.14%) 역시 약세를 보이며 지수 낙폭을 확대했다.

• 반도체주
인텔은 6% 넘게 급락해 S&P500과 나스닥100에서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마이크론(-3% 이상), ARM(-2% 이상), 브로드컴·마벨·램리서치(각 1% 이상 하락) 등도 줄줄이 내렸다.

• 개별 종목Target은 연간 매출 감소폭 확대 전망을 내놓으며 6% 넘게 밀렸고, 에스티로더는 2026 회계연도 EPS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서 3% 넘게 빠졌다. 반면 월마트는 실적 기대감에 1% 넘게 올라 다우지수를 방어했다.


경제 지표·연준·금리

미국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8월 15일로 끝난 주간 주택담보대출 신청지수는 1.4% 감소했다. 30년 만기 고정금리 모기지 평균금리는 6.68%로 전주 대비 1bp 상승했다.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은 ‘다소 매파적’으로 평가됐다. 다수 위원은 고용보다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더 우려하며 “노동시장은 견조하지만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시장은 9월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확률을 84%로,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 확률을 55%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 9월물 10년물 T-노트 선물은 3틱 상승했으며, 이에 따라 10년물 국채금리는 4.291%로 1.5bp 하락했다. 다만 200억 달러 규모 20년물 국채 입찰 수요가 저조했던 점과 매파적 FOMC 의사록이 상단을 제약했다.


무역·외교 변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400여 소비재로 확대하고, 반도체에 최대 300% 관세를 예고했다. 중국과의 관세 휴전은 11월까지 90일 연장됐지만, 인도산 제품 관세율은 50%로 두 배 인상됐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로 인해 평균 미국 관세율이 15.2%까지 높아질 것으로 추정했다(2024년 2.3%).

우크라이나 전쟁 외교 협상도 진행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조기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으며, 유럽은 영·프 연합군 파견안을 논의 중이다. 협상 결과에 따라 유가·관세·유럽 안보에 상당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해외 증시 및 물가

유럽 스톡스50은 0.20% 하락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1.04% 상승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1.51% 밀렸다.

영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8% 올라 예상치(3.7%)를 상회했다. 영국과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는 각각 6.8bp, 3.3bp 낮아졌다. 유럽중앙은행(ECB) 9월 인하 확률은 스왑시장에서 7%로 가격에 반영됐다.


기업 실적·종목별 사건사고

“2분기 S&P500 기업 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4년 만에 최고 실적.”(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전체 기업의 93%가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3%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주가 급락 세 기업
• 제임스 하디 인더스트리즈: 2분기 영업이익 29% 급감, 주가 34% 폭락.
• La-Z-Boy: 1분기 동종점포 매출 4% 감소, 다음 분기 매출 전망 하향, 주가 12% 하락.
• Avis Budget·CarMax·Carvana: Hertz의 ‘아마존 오토’ 중고차 판매 진출 소식에 동반 약세.

주가 상승 세 기업
• 아날로그 디바이스: 3분기 매출 28억8,000만 달러로 전망치 상회, 주가 6% 급등.
• Hertz 글로벌 홀딩스: ‘아마존 오토’ 협력 소식, 주가 6% 상승.
• TJX: 3분기 동일점포 매출 4% 증가, 2026년 전망 상향, 주가 2% 이상 상승.

그 밖에 FDA 심사 일정이 앞당겨질 가능성을 언급한 리제네론(+3%), 인수 협상설이 나온 데이포스(+2%), JP모건이 투자의견을 두 단계 상향한 매코믹(+1%) 등이 주목받았다.


앞으로의 일정

• 21일(목): 실업수당 청구건수(22만5,000건 예상),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6.7 예상), S&P 제조업 PMI, 기존주택판매(392만 건 예상) 발표.
• 22일(금): 파월 의장, 와이오밍 잭슨홀 연례 경제심포지엄에서 경제전망 기조연설.
• 실적 발표(8월 21일): 인튜이트, 루이지애나-퍼시픽, 로스 스토어스, 월마트, 워크데이, 줌 커뮤니케이션즈.


전문가 해설

필자 견해: 연준이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더 우려한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금리 인하 기대가 일부 후퇴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 실적 개선세가 견조하고, 소비지표가 급락하지 않는 한 증시는 박스권 조정 속 가치주·방어주와 성장주 간 ‘롤링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관세 변수는 공급망 재편 및 원가 전가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제조·유통 기업의 마진율 변동성 확대를 예의주시해야 한다.

※ 용어 설명
E-미니 선물: CME가 상장한 주가지수 소형 선물로, 거래 단위가 작아 개인도 활용하기 쉬운 파생상품이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시가총액이 수조 달러에 달하는 7대 빅테크 기업 묶음으로, 지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