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19일(현지시간) 장중 혼조세를 보였다. S&P 500 지수는 -0.31%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0%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1.03% 떨어져 1주일 만의 최저치로 밀렸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34%,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06% 내렸다.
2025년 8월 1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다우지수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주와 이른바 ‘매그니피션트 세븐(Magnificent Seven)’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여 시장 전반의 상승 동력을 제약했다.
다우 강세 견인한 홈디포 — 7월 비교매출 3% 증가
개장 초 약세를 보였던 홈디포(Home Depot) 주가는 7월 기존점 매출이 +3% 증가했다는 실적 발표 이후 +4% 이상 급등하며 다우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동종업체인 로우스와 타깃은 20일, 월마트는 21일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채권금리·신용등급 동향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2bp 인 4.31%로 내려 주식에 일부 완충 역할을 했다.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미국이 최근 지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관세 수입 증가가 재정 악화를 상쇄할 것이라며 미국 국채의 장기 신용등급 AA+, 단기 등급 A-1+를 재확인했다.
주택지표 — 착공↑·허가↓
미국 7월 주택 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5.2% 증가한 142만 8,000건(5개월 만의 고점)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129만 7,000건 감소)와 대조적인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건축허가는 -2.8% 감소한 135만 4,000건(5년 만의 저점)으로 부진해 향후 건설경기에 경고음이 울렸다.
외교·무역 변수 — 관세·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외교적 대화도 진전을 보였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서
“평화 협정에 대한 안전 보장에 미국이 참여하고, 영토 교환 문제는 추후 논의한다”
는 약속을 받아냈다고 밝혔다. 결과에 따라 관세와 유가, 나아가 유럽 안보 구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오토바이·자동차 부품·가구 부속품·식기 등 400여 개 소비재로 확대 적용했다. 그는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 반도체와 철강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으며, 일부 칩 제조업체가 미국으로 생산을 이전하면 예외를 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6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50%로 두 배 인상한다고 발표했고, 의약품 수입에도 고율 관세를 검토 중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로써 평균 미국 관세율이 시행 전 13.3%에서 15.2%로 오를 것이라 추산했다(2024년 2.3% 대비 급등).
FOMC·경제지표 일정
시장 참여자는 20일 공개될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과 22일 발표될 주간 실업수당 청구(22만 5,000건 예상)·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6.7 예상)·S&P 제조업 PMI(49.8 예상)에 주목하고 있다. 23일에는 파월 의장이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경제 전망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방기금선물 금리는 9월 FOMC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을 84%로,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53%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글로벌 증시 흐름
유로 스톡스 50 지수는 4.75개월 만의 고점을 경신하며 +0.92% 상승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고점에서 소폭 -0.02%, 일본 니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경신 후 -0.38% 조정받았다.
국채·유럽 채권
9월물 10년물 미 국채 선물은 6틱 상승했고, 수익률은 4.308%로 -2.5bp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1.4bp인 2.749%,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은 -2.2bp인 4.716%로 동반 하락했다. 시장은 ECB가 9월 11일 -0.25%p 인하할 확률을 6%로 반영하고 있다.
대형 기술주·반도체주 약세
‘매그니피션트 세븐’ 중 Nvidia와 Meta가 -2% 이상, Alphabet·Amazon·Microsoft·Tesla도 -1%대를 기록했다. 반도체주에서는 AMD가 GF 증권의 매수→보류 하향 조정 후 -4% 급락했고, Marvell·Broadcom·ARM·Qualcomm도 -1%~ -3% 하락했다.
개별 종목 뉴스
- Viking Therapeutics — 경구 비만 치료제 2상 시험에서 28% 환자가 내약성 문제로 치료를 중단해 -43% 폭락
- Fabrinet — 데이터통신 매출 둔화 전망을 이유로 -12% 하락
- Amer Sports — 3분기 영업이익률 가이던스 12~13%(컨센서스 13%) 발표 후 -4%
- Medtronic — 1분기 조정 영업마진 23.6%(컨센 23.7%)로 -3%
- Vertiv — GLJ 리서치가 투자의견 ‘매도’, 목표가 112달러 제시 후 -3%
- Intel — 소프트뱅크가 20억 달러 지분 매입에 나서며 +8% 급등
- Palo Alto Networks·CyberArk — 2026년 매출 가이던스 상향으로 +4% 동반 강세
- 트럭·물류주 JB Hunt·Old Dominion·Knight-Swift·Schneider·CSX·FedEx가 2~4% 상승
- Prologis — 미즈호 증권이 ‘중립→매수’, 목표가 118달러로 상향 후 +4%
- Caterpillar — 에버코어 ISI가 ‘보통 → 아웃퍼폼’, 목표가 476달러로 상향하며 +1%
2분기 실적 시즌 — 예상 대비 호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기업 중 92%가 실적을 발표한 상황에서 82%가 예상치를 상회했다. 이에 2분기 EPS 성장률은 +9.1%로, 시즌 시작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며 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용어 풀이
- E-미니 선물: CME에 상장된 ‘축소형’ 지수선물로, 표준 계약 대비 계약 규모가 작아 개인투자자도 활용하기 쉽다.
- 매그니피션트 세븐: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알파벳·메타·엔비디아·테슬라 등 미국 대형 기술주 7종을 일컫는 신조어다.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미국 금리를 결정하는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다.
향후 일정 및 주목 포인트
20일 로우스·타깃, 21일 월마트가 연이어 실적을 발표한다. 22~23일 발표될 미 고용·제조업 지표와 파월 의장의 잭슨홀 연설,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발표 여부가 다음 주 시장 방향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지목된다.
※ 본 기사에서 언급된 개별 종목에 대해 저자는 직접적·간접적 보유 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본문은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 자문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