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매도 여파로 뉴욕증시 하락 마감

S&P500 지수(종목 코드: $SPX)는 8월 29일(현지 시각) -0.64% 하락한 채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20% 내렸고, 나스닥 100($IUXX)은 -1.22% 급락했다. 9월물 E-미니 S&P500 선물(ESU25)은 -0.6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1.31% 떨어졌다.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기술주 전반의 약세가 지수를 끌어내렸다. 특히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부진을 이유로 -18% 폭락하며 반도체 섹터 전반에 매도세를 촉발했다. 이어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도 AI 서버 부문의 마진 축소를 경고하면서 -8% 넘게 추락, 컴퓨터 하드웨어 종목군이 동반 약세를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 모습

주목

거시 경제 지표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8월 MNI 시카고 PMI는 전월 대비 5.6포인트 하락한 41.5를 기록해 예상치(46.0)를 크게 밑돌았다. *PMI(구매관리자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위축을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같은 날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8월 확정치)는 58.2로, 잠정치(58.6)보다 낮아졌다.

물가 압력은 여전히 ‘끈적한(Sticky)’ 양상을 보였다. 미국 7월 근원 PCE 물가지수(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는 전년 대비 2.9% 올라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연준의 목표치(2%)를 상회한다.


소비·소득 지표는 견조

같은 달 개인소비지출(Personal Spending)은 전월 대비 0.5% 증가해 4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고, 개인소득 역시 0.4% 늘어 시장 예상과 일치했다. 이는 소비 회복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시간대 조사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8%로 예상(5.0%)보다 낮게 수정됐다.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3.5%로 하향돼 디스인플레이션 기대를 키웠다.

연준(Fed) 인사들의 완화적 발언도 주목받았다.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는 “9월 FOMC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밝혔고, 메리 데일리(Mary Daly)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조만간 통화정책을 재조정할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주목

통상(관세) 변수 확대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디지털 서비스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그는 이미 철강·알루미늄 관세 대상 품목을 400여 개 소비재로 확대했으며, 인도산 수입품 관세율도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할 계획을 밝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예고된 관세가 모두 시행될 경우 평균 미국 관세율이 15.2%로 상승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8%로,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반영하고 있다.


해외 증시·채권 금리 동향

유럽 Stoxx50 지수는 2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0.83%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상승, 일본 닛케이225는 -0.26% 하락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227%로 2.4bp 상승했다. 같은 만기 독일 국채금리는 2.724%(+2.9bp), 영국 길트금리는 4.722%(+2.2bp)로 동반 상승했다. 독일 8월 CPI(EU 조화 기준)는 전년 대비 2.1%로 예상(2.0%)을 웃돌았고, 8월 실업자 수는 9,000명 감소하며 고용시장이 탄탄한 흐름을 유지했다.

개별 종목별 등락

반도체·AI 관련주는 전반적으로 약세였다. 마벨(-18%), 램리서치(-4% 이상), 브로드컴·엔비디아·AMD(각 -3% 이상) 등이 매도 압력을 받았다. ARM, ASM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KLA, 인텔, 온세미, 마이크론도 -2% 이상 하락했다.

하드웨어 업종에서는 델(-8% 이상),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5% 이상),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2% 이상)가 부진했다. 화장품 소매업체 울타 뷰티는 양호한 매출에도 소비 둔화 경고로 -7% 하락했고, 캐터필러는 관세 부담(최대 18억 달러) 경고로 -3% 이상 밀렸다.

반면 오토데스크(+9% 이상), 암바렐라(+16% 이상), 어폼(+10% 이상), 센티넬원(+6% 이상), 셀시어스 홀딩스(+5% 이상) 등은 호실적·전망 상향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다.

관리형 의료주도 방어적 수요가 유입됐다. 몰리나 헬스케어(+3% 이상), 엘리번스·센틴(+2% 이상), 유나이티드헬스(+2% 이상)가 상승했고, 휴마나·CVS헬스도 1% 이상 올랐다.

용어 풀이

근원 PCE(Core PCE):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에서 에너지·식품을 제외, 연준이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다.
FOMC: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PMI: 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의 신규 주문, 생산, 고용 등을 종합한 경기 선행지표다.
bp(베이시스포인트): 1bp는 0.01%p를 의미한다.


전망과 시사점

시장 참가자들은 단기적 금리 인하 기대물가 지표의 상방 리스크 사이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여전한 가운데, 관세 확대는 기업 실적과 소비 심리에 추가 압박을 가할 수 있다. 다만 완화적인 연준 스탠스와 견조한 소비 데이터는 지수의 하방을 일정 부분 방어할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