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기술주 매도세에 눌리며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다. 30일(현지시간)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64%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0% 떨어졌다. 기술주 비중이 큰 나스닥 100 지수는 -1.22% 급락했다. 같은 날 장 마감 후 거래되는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6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31% 각각 내렸다.
2025년 8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주요 지수 약세의 일차적 원인은 반도체ㆍ컴퓨터 하드웨어 업종 중심의 기술주 급락이다.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는 2분기 데이터센터 매출이 컨센서스(15억 2,000만 달러)를 밑돈 14억 9,000만 달러로 집계되면서 주가가 -18% 폭락해 반도체 섹터 전반을 끌어내렸다.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도 인공지능(AI) 서버 부문의 수익성 둔화 우려로 -8% 넘게 밀리며 컴퓨터 하드웨어 업종 낙폭을 확대했다.
거시지표 악화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8월 MNI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전월 대비 5.6포인트 급락한 41.5로 46.0을 예상한 시장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다. 미시간대 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잠정치 58.6에서 58.2로 하향 수정돼 서프라이즈 악재로 작용했다.
“물가가 여전히 끈적한 가운데 경기 선행지표가 둔화하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약해졌다”
는 것이 뉴욕 채권딜러들의 공통된 해석이다.
물가 우려 재점화 (Fed의 선호 지표)
7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9% 올라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근원 PCE는 연준(Fed)이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잣대다. 연준 목표치 2%를 여전히 웃돌면서 “물가가 생각보다 더디게 식고 있다”는 경계심을 자극했다.
다만 소비 경기는 견조했다. 7월 개인소비는 전월 대비 +0.5% 증가해 4개월 만에 최대폭을 나타냈고, 개인소득도 +0.4% 늘어나 시장 예상과 부합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9%에서 4.8%로, 5~10년 기대치는 3.9%에서 3.5%로 각각 하향 수정됐다.
연준 인사들의 완화적 발언도 눈길을 끌었다.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고, 3~6개월 내 추가 인하를 단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Fed 총재도 “머지않아 통화정책을 재조정할 시점이 올 것”이라며 조기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무역·관세 변수도 증시에 부담을 주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국 기업에 부담을 주는 디지털세에 대응해 첨단 기술·반도체 제품에 대한 신규 관세 및 수출 제한을 경고했다. 8월 13일 중국과의 관세 휴전(90일 연장), 8월 6일 인도산 수입품 관세 25%→50% 상향 발표 등으로 평균 관세율은 15.2%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채권ㆍ금리 동향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전장 대비 2.4bp 상승한 4.227%로 마감했다.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는 독일 8월 소비자물가가 예상(+2.0%)을 웃돌며 +2.9bp 오른 2.724%를 기록했다.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도 4.722%로 2.2bp 상승했다.
※ 용어 해설
PMI는 제조·서비스업 구매관리자에게 설문해 경기 확장(50 이상)·수축(50 미만)을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PCE 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실제 지불한 가격 변화를 포괄적으로 반영해 CPI보다 범위가 넓으며, 연준의 통화정책 판단 기준으로 활용된다.
개별 종목 동향
반도체주 전반이 약세를 면치 못했다. Lam Research는 -4%, Broadcom·Nvidia·AMD는 -3% 이상 하락했다. ASML, Applied Materials, KLA, Intel, ON세미컨덕터, Micron 등도 2% 넘게 떨어졌다.
컴퓨터 하드웨어 부문에서 델이 -8% 급락했고, Super Micro Computer -5%, Hewlett Packard Enterprise -2% 등 낙폭이 컸다. CAT(캐터필러)은 연간 관세 부담이 최대 18억 달러로 예상된다는 경고에 -3% 하락했다.
Ulta Beauty는 양호한 2분기 매출에도 소비 둔화 가능성을 경고하며 -7% 밀렸다. 반면 Autodesk는 2분기 매출 서프라이즈와 상향된 3분기 가이던스로 +9% 급등했다.
크립토 관련주도 부진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7주 만에 최저치로 미끄러지면서 Galaxy Digital -4%, Coinbase·MicroStrategy -1% 이상 하락했다.
한편, 모니터링 의료서비스주가 선전했다. Molina Healthcare +3%, Elevance Health +2%, Centene +2% 상승했고, UnitedHealth Group은 다우지수 내 최고 상승폭(+2%)을 보였다.
실적ㆍ전망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S&P 500 기업의 2분기 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시즌 전 전망치(+2.8%)를 크게 웃돌았다. 보고를 마친 95% 기업 가운데 82%가 시장 예상치를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9월 2일(현지시간) 예정된 실적 발표 기업은 Academy Sports & Outdoors, HealthEquity, Signet Jewelers, Zscaler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