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6일(현지시간) 기업 호재와 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리며 일제히 상승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73%,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8%, 나스닥100 지수는 +1.29% 상승 마감했다. 같은 날 마감한 9월물 E-미니 S&P 선물과 나스닥 선물도 각각 +0.72%, +1.21% 올랐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랠리는 기업 실적 및 통화 정책 전망이 동시 작용한 결과다. 특히 애플·아리스타 네트웍스·매치 그룹 등이 강한 모멘텀을 제공해 기술주 주도 랠리가 전개됐다.
기업 뉴스가 분위기를 주도했다. 아리스타 네트웍스는 3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시장 예상을 넘어 +17% 급등했고, 매치 그룹도 3분기 매출 전망 상향으로 +10%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애플이 미국 내 제조시설에 1,0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애플 주가는 +5% 뛰어 메가캡 기술주 전반을 견인했다.
연준 정책 기대 확대
화요일 발표된 미국 서비스업 지표 부진과 직전 금요일의 고용·제조업 약세가 맞물리면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은 40%→95%로 급등했다. 10월 회의에서도 68% 확률이 반영됐다.
미니애폴리스 연은 닐 카시카리 총재는 “경기 둔화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단기에 기준금리 조정이 적절할 수 있다”고 밝혔고, 리사 쿡 Fed 이사는 “7월 고용지표는 전환점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비둘기(완화)적 발언은 장중 채권 매수세를 자극해 주가에도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주택 금융 지표 역시 완화를 시사한다. 8월 1일 기준 MBA 모기지 신청지수는 전주 대비 +3.1% 상승했고,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6.83%→6.77%로 6bp 하락했다.
무역·관세 변수
트럼프 대통령은 6일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50%%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향후 1주일 내 반도체·제약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도 예고됐다. 8월 7일 0시 이후 무역흑자국에는 최소 15% 이상의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며, 시행 시 평균 미국 수입 관세율은 15.2%로 상승한다.
경제 일정 측면에서 7일 발표될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만1000건(+3000)이 예상되며, 2분기 생산성은 +2.0%, 단위노동비용은 +1.5% 증가가 전망된다.
실적 시즌 성적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67%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3%가 순이익 예상을 뛰어넘었고, 전체 EPS 성장률은 +9.1%로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외 시장 동향
유럽 Euro Stoxx 50은 +0.26%, 중국 상하이종합은 +0.45%, 일본 니케이225는 +0.60% 상승했다.
금리·채권시장
9월물 미 국채 10년물은 2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0.6bp 상승한 4.216%를 기록했다. 42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입찰은 bid-to-cover 2.35배로 최근 10회 평균(2.58배)보다 수요가 약했다. 주가 강세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약화도 수익률 상승 요인이었다.
유럽 국채도 동반 약세를 보였다. 독일 10년물 분트는 +2.6bp 오른 2.650%, 영국 10년물 길트는 +1.0bp 오른 4.526%다.
주요 경제 지표
유로존 6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3%로 예상치에 부합했다. 반면 독일 6월 공장수주는 -1.0%로 5개월 만에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ECB 집행이사회 멤버 로베르트 홀츠만은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며 관망 기조를 강조했다.
종목별 움직임
급등주 : 아스테라랩스(+27%), 링센트럴(+25%), 쇼피파이(+21%), 아리스타 네트웍스(+17%), 어슈런트(+11%), 매치 그룹(+10%), 글로벌 페이먼츠(+8%), 애플(+5%) 등이 두드러졌다.
급락주 : 슈퍼마이크로컴퓨터(-18%),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6%) 및 동종 반도체주, 코카콜라 유로퍼시픽(-7%), 켐퍼(-21%), 버텍스(-19%), 스냅(-17%), 다비타(-9%), 에머슨 일렉트릭(-4%) 등이 하락폭이 컸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미니 선물은 거래소에서 소액 단위로 거래되는 주가지수 선물로, 개장 전·후 시간대에도 지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유동성 지표다. FOMC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산하의 공개시장위원회로 연방 기준금리를 결정하며, 시장 전반에 막강한 영향을 미친다.
취재진 분석에 따르면, 금리 인하 베팅 확대로 연초 이후 주춤했던 빅테크 대형주가 재차 강세 흐름을 탈 가능성이 크다. 다만 관세 불확실성과 국채 공급 확대는 변동성을 키울 수 있어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