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가 일본 및 유럽연합(EU)과의 무역 진전 소식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며 미국 증시 전반을 끌어올렸다.
2025년 7월 24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78% 오른 5,500.21포인트(가정)로 마감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1.14% 상승한 39,850.17포인트로 5개월 반 만의 고점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도 +0.43% 올라 20,350선에 근접했으나, 자동차·산업용 반도체주의 약세로 상승 폭은 제한됐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mini S&P 500은 +0.80%, 9월물 E-mini 나스닥은 +0.45% 상승해 현물 상승세를 거들었다.
미·일 무역합의: 관세 인하·대규모 투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일 늦게 일본과 새로운 무역합의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합의에 따라 8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던 25% 관세가 15%로 낮아졌으며, 일본은 미국 투자 전용 5,500억 달러 규모 기금을 조성한다. 또한 일본은 보잉 항공기 100대 구매, 미국산 쌀 구매 확대(+75%), 기타 농산물 80억 달러 구매, 그리고 미국 방산기업을 통한 연간 방위비 지출을 170억 달러로 늘리기로 했다(기존 140억 달러).
미·EU 관세 갈등 완화
블룸버그 통신은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과 EU가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15% 수준으로 관세를 조정하는 방안을 놓고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합의 실패 시 예고했던 30% 관세보다 크게 낮은 수준으로, 8월 1일 시한을 앞둔 시장 우려를 완화했다.
반도체주는 약세…텍사스 인스트루먼트 13% 급락
그러나 나스닥100의 상승세는 자동차·산업용 반도체주 부진으로 제한됐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자동차 부문에서 전반적 회복이 온전히 나타나지 않는다”고 밝힌 뒤 주가가 -13% 폭락했다.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6%), 온세미컨덕터(-4%), 아날로그 디바이시스(-3%), NXP(-1% 이상) 등도 줄하락했다.
부동산 지표는 부진…주택 거래 9개월 최저
6월 미국 기존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2.7% 감소한 393만 건으로 9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시장 예상 -0.7%·400만 건). 같은 기간 전미모기지은행협회(MBA) 기준 주간 모기지 신청은 +0.8% 증가했으나, 재융자 지수는 -2.6% 감소했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 금리는 6.84%(+0.02%p)로 올랐다.
8월 1일 관세 시한 임박…시장 촉각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150여 개국에 관세율이 10~15%로 조정될 수 있다는 서한을 보내겠다고 예고했고, 캐나다 일부 품목에는 현재 25%에서 35%로 인상된 관세를 8월 1일 발효하겠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추가 무역합의 및 관세 관련 발표를 주시하고 있다.
경제 지표·연준 관측
당장 25일(현지시각) 발표되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 대비 5,000건 증가한 22만6천 건이 예상되며, 7월 S&P 미 제조업 PMI는 52.7(-0.2pt), 6월 신규주택 판매는 65만 건(+4.3% m/m)이 전망된다. 26일 발표될 6월 내구재(항공기·방위 제외) 신규주문은 +0.2% 증가가 예측된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3%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2분기 실적 시즌: 예상 상회
이번 주 S&P 500 구성기업의 약 20%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집계된 EPS는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로, 어닝시즌 개시 전 예상치(+2.8%)를 넘어섰다. 그러나 야데니 리서치는 11개 업종 중 6개 업종만 이익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해 2023년 1분기 이후 가장 적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해외 증시 동반 상승
유럽 유로스톡스50 지수는 +1.02%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최고치를 찍은 뒤 +0.01%로 약보합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3.51% 급등하며 1년 만에 최고치를 작성했다.
채권시장: 안전자산 수요 감소
9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은 -12.5틱 하락, 금리는 4.384%(+4bp)로 올라갔다. 무역 긴장 완화와 주식 강세가 안전자산 선호를 줄였기 때문이다. 다만 주택 지표 부진, 20년물 국채 입찰 호조(응찰배수 2.79·10회 평균 2.57) 등은 하락 폭을 제한했다. 같은 날 독일 10년물 금리는 +5bp(2.639%), 영국 10년물은 +6.6bp(4.635%) 상승했다.
용어 설명: E-mini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가 소액 투자자를 위해 상장한 주가지수 선물로, 정규 S&P 500 선물의 1/5 규모다. T-note는 만기 2~10년 미국 국채를 지칭하며, 안전자산이자 글로벌 금리 벤치마크다.
업종·종목별 흐름
전력·유틸리티 업종은 PJM 인터커넥션이 AI 붐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으로 전력망 유지비가 사상 최대 161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하자 급등했다. Talen Energy(+8%), Vistra(+5%), NRG Energy(+4%), Constellation Energy(+1% 이상)가 상승했다.
식품·산업재·의료 종목도 실적 호조로 강세를 보였다. 램 웨스턴 홀딩스는 4분기 매출 168억 달러로 컨센서스(159억 달러)를 상회하며 +16% 급등해 S&P 5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GE 베르노바(+14%), 베이커휴즈(+11%), TE 커넥티비티(+11%), 써모피셔 사이언티픽(+9%), 레녹스 인터내셔널(+6%), 코스타 그룹(+6%) 등도 잇따라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공개했다.
반면 파이서브(-13%)는 유기적 매출 성장률이 8.0%로 시장 기대치(8.91%)를 밑돌며 급락했고, 오티스 월드와이드(-12%)는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해 하락했다. 힐튼 홀딩스(-2%), 유니티 소프트웨어(-2%), 노던트러스트(-1% 이상), 텔레다인(-1% 이상) 등도 부진했다.
다음날(7월 24일) 예정된 주요 실적 발표
A. O. 스미스, 알레지온, 아메리프라이즈, 블랙스톤, 센터포인트 에너지, 데커스 아웃도어, 디지털리얼티, 도버, 다우,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즈, 헬스피크, 허니웰, 인텔, 큐리그닥터페퍼, L3해리스, 랩코프, LKQ, 모호크 인더스트리, 나스닥, 뉴몬트, 풀코프, 사우스웨스트항공, 텍스트론, 트랙터서플라이, 유니온퍼시픽, 발레로 에너지, 베리사인, 웨스트 파마, 웨스팅하우스 브레이크, 웨어하우저 등이 대기하고 있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시장 참가자들은 “무역 불확실성 완화와 양호한 2분기 실적“이라는 두 축이 당분간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다만 8월 1일 관세 시한과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부진한 부동산 지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자동차·산업용 반도체 수요 회복 지연은 나스닥의 추가 상승 폭을 제한할 잠재 리스크로 지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