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소 선물 폭락, 피더 소 한도까지 하락

금요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소 선물 가격이 급락하였다. 생우(라이브 캐틀) 선물 근월물은 전 거래일 대비 -5.70~-6.25달러 하락했으며, 그럼에도 8월물은 이번 주 누적 기준 +2.42달러의 상승폭을 보존하였다.

2025년 8월 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피더 캐틀(사육우) 선물이 장중 내내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가격제한폭(리밋) 하락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월요일(현지시간) CME는 생우 선물의 일일 가격제한폭을 종전 7.00달러에서 10.75달러확대한다고 예고했다.

8월물 생우 선물에 대한 실물인도 지시서는 이날 “0건”이었고, 최장 보유된 롱포지션의 최초 설정일은 12월 11일로 파악된다. 현물(캐시) 시장 거래량은 전주 대비 다소 부진했으며, 북부 지역에서는 파운드당 245달러(전주 대비 보합 ~ 2달러 하락), 남부 지역은 235달러보합세가 유지됐다.

금요일 오전 진행된 Fed Cattle Exchange 온라인 경매 (BidTheGrid™ 시스템)에서는 출하된 600두 가운데 220두가 파운드당 240.50~245달러에 매매되었다.


Live Cattle Futures Chart Feeder Cattle Futures Chart

피더 캐틀 선물은 주 후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거의 전월물에서 가격제한폭(-9.25달러)까지 하락했다. 그럼에도 8월물은 주간 누적 +4.82달러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월요일부터 피더 캐틀 선물의 일일 가격제한폭은 13.75달러로 확대될 예정이다.

피더 캐틀 선물이란 650~849파운드(약 295~385㎏) 사이의 사육우를 대상으로 하는 선물계약을 말한다. 한국 투자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미국 육류 공급망의 가격 형성사료 원가 관리에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CFTC(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8월 5일자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투기자금(Managed Money)은 생우 선물·옵션 순매수 포지션을 한 주 동안 2,944계약 축소해 125,565계약으로 낮췄다. 반면 피더 캐틀 선물·옵션에서는 같은 기간 1,953계약을 늘려 총 37,079계약 순매수를 유지했다.

USDA(미 농무부) 발표에 의하면 금요일 오후 박스드 비프(Boxed Beef) 도매가는 혼조세였다. 초이스(Choice) 등급은 전일 대비 0.10달러 하락한 파운드당 378.84달러, 셀렉트(Select) 등급은 1.34달러 상승한 355.09달러를 기록하며, 등급 간 가격 차이는 23.75달러로 집계되었다.

이번 주 도축 물량은 536,000두로 추정되며, 전주 대비 1,000두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1,582두 감소했다. 이는 사료곡물 가격 상승과 가뭄, 번식우 감축 등의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CME 종가 기준 2025년 8월물 생우 선물은 232.550달러(-6.200), 10월물은 225.975달러(-6.250), 12월물은 227.925달러(-5.700)로 모두 급락했다. 같은 월 피더 캐틀 선물은 339.400달러(-9.250), 9월물 340.375달러(-9.250), 10월물 339.225달러(-9.250)로 일제히 리밋다운을 기록했다.

이는 전일 발표된 국제 원유·사료곡물 가격 반등과 더불어, 투자자들의 주말 포지션 정리에 따른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다만, 도축 마진이 견조하고 소고기 소비가 계절적으로 증가하는 진입기에 접어드는 만큼 단기 조정 이후 재차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시장이 극심한 변동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개별 투자자는 스프레드 거래·옵션 전략 등을 통해 하방 위험을 헷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기사를 작성한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본 기사는 투자자문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