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지수는 0.32%,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0%, 나스닥100 지수는 0.47% 상승하며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선물시장에서도 12월물 E-mini S&P가 0.30%, E-mini 나스닥이 0.42% 오르면서 현물 지수를 뒷받침했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교역 긴장 완화가 투자 심리를 개선하면서 뉴욕 증시의 강세를 견인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펜타닐(fentanyl) 위기 해결을 위한 중국 측 협력 조건으로 중국산 제품에 부과 중인 20% 관세를 최저 10%까지 인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이 전구체 화학물질 수출을 단속하고 직접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보이면 관세를 낮출 준비가 돼 있다”
고 트럼프 대통령은 전했다. 같은 날 미국과 한국은 한국 조선업계가 미국에 1,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미국은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5%로 상한하는 내용의 최종 무역 합의를 발표했다.

반도체 업종의 강세도 지수 상승을 거들었다. Nvidia 주가는 4% 급등하며 시가총액을 끌어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협상의 일환으로 블랙웰(Blackwell) AI 프로세서를 중국에 공급하는 방안을 시사한 데 따른 것이다. 중국 외교부 궈자쿤 대변인은 “미·중 관계에 새로운 동력을 주입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한 완화적(도비시) 통화정책 기대도 증시에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은 이날 열흘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끝나면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25bp 인하(3.75~4.00%)하고, 양적긴축(QT) 중단을 선언할 것으로 보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2월 9~10일 FOMC에서도 추가 25bp 인하가 90% 확률로 반영돼 있으며, 2026년 말까지 총 115bp 인하(현행 4.10% → 2.95%)가 가격에 내재돼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경제전망요약(SEP)과 점도표가 발표되지 않아, 투자자들은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한 마디 한 마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준이 QT를 멈추면 유동성 흡수가 중단돼 주식·채권 시장 모두에 순유입 효과가 기대된다.
MBA 주택담보대출 신청지수는 10월 24일로 끝난 주간에 7.1% 증가했다. 구입용 모기지는 4.5%, 재융자 신청은 9.3% 늘었으며,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금리는 6.37%에서 6.30%로 1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앞서 주말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미·중 실무협상에서는 잠정 합의가 도출됐다. 오는 31일 APEC 정상회의(한국 부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미 재무장관 베센트는 “11월 1일부로 예정됐던 100% 관세 위협은 사실상 철회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 유예(1년)와 미국산 대두 ‘대규모’ 구매에 동의했으며, TikTok 접근성 유지 방안도 논의됐다.
한편 이번 주는 ‘매그니피센트 7’ 중 5개 기업을 포함해 S&P500 구성 173개사가 실적을 발표한다. 29일에는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 31일에는 애플·아마존이 실적을 내놓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이미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84%가 시장 예상을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3분기 순익 증가율은 7.2%로 2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미·캐나다 통상 마찰도 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온타리오 주정부의 반관세 광고에 대한 보복으로 캐나다산 수입품 10% 추가 관세를 발표했다.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해당 광고는 이미 중단됐으나, 대통령은 제재 수위를 높였다. 오는 11월 5일 연방대법원의 관세 합헌 여부 구두변론 결과에 이목이 집중된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째 지속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공무원이 무급휴직 중이며,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각종 지표 공표가 지연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해외 증시도 견조하다. 유로스톡스50은 0.34% 상승해 사상 최고를 기록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에 최고치(0.70%↑), 일본 닛케이225 역시 2.17% 급등했다.
금리 시장에서는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이 1.7bp 오른 3.993%를 기록했다. 안전자산 선호 약화가 주가 랠리를 방증한다. 반면 독일 10년물 분트-0.2bp(2.621%), 영국 10년물 길트-0.3bp(4.397%) 등 유럽 금리는 소폭 하락했다.
스왑 시장은 10월 30일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 수준으로 반영하고 있다.
주요 종목별 움직임
Nvidia 4%↑, 람리서치·AMD 3%↑, 마이크론·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KLA 2%↑, 마벨·ASML·ARM 1%대 상승 등 반도체 전반이 강세다.
자동화 테스트 장비업체 테러다인은 3분기 매출 7억6,920만 달러(컨센서스 7억4,510만 달러)를 기록하고, 4분기 가이던스를 9억2,000만~10억 달러로 제시해 15% 급등했다.
씨게이트 15%↑, 블룸에너지 13%↑, 캐터필러 11%↑, 센틴 7%↑, 코그니전트 6%↑ 등 실적 호조 기업이 잇따랐다.
반면 피서브 ‑44%, 아반토 ‑15%, 버리스크 애널리틱스 ‑13%, 가민 ‑12%, 제네락 ‑8%, 스머핏 웨스트록 ‑7%, 보잉 ‑3%, 몬덜리즈 ‑3% 등은 실적 부진 또는 가이던스 하향으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펜타닐: 마약성 진통제로, 불법 남용 시 치명적인 중독을 유발한다. 미국 내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면서 중국산 원료 단속이 국제적 이슈가 됐다.
*양적긴축(QT): 중앙은행이 보유 자산을 축소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 반대로 자산을 매입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은 양적완화(QE)라 부른다.
*bp(베이시스포인트): 금리 단위를 나타내며 1bp는 0.01%p(0.0001)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