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향후 통화정책의 향방을 가를 관세발 인플레이션의 지속 여부를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의 오스턴 굴스비(Austan Goolsbee) 총재는 관세가 일시 충격인지, 아니면 구조적 물가 압력으로 번질지를 판별하는 작업이 “가장 어려운 과제”라고 강조했다.
2025년 8월 13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굴스비 총재는 일리노이주 스프링필드에서 열린 그레이터 스프링필드 상공회의소(Greater Springfield Chamber of Commerce) 연설에서 이같이 언급하며, 가을로 접어드는 오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매우 중대하고 활발한 토론의 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환 국면에서 타이밍을 정확히 맞추는 일은 모든 중앙은행이 직면하는 가장 어려운 작업
“이라며, 관세가 단발성(One-Off) 충격에 그칠 것이라는 안일한 가정을 경계했다. 굴스비 총재는 이번 주 발표 예정인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와 다음 달 나오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폭넓은 물가 지표를 확인한 뒤 금리 인하 여부를 최종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연준의 현재 정책 금리 구간과 내부 이견
연준은 직전 회의에서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4.25%~4.50%로 동결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회의에서는 감독 담당 부의장인 미셸 보우먼(Michelle Bowman) 및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가 노동시장 약화 가능성을 사유로 금리 인하(통화 완화)를 지지하며 소수 의견을 냈다.
회의 이틀 뒤인 7월 고용보고서(Non-farm Payrolls)에서 5·6월 일자리 증가폭이 대폭 하향 수정됐고, 7월 신규 고용도 예상치를 하회했다. 이는 일부 위원들에게 조기 완화 근거로 작용했다. 반면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데이터를 “조작됐다”며 통계 담당 국장을 경질했다.
재무장관·백악관의 압박과 굴스비의 신중론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은 최근 고용지표를 근거로 연내 금리 인하 필요성을 거듭 주장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연초부터 요구해 온 방향과 궤를 같이한다. 하지만 굴스비 총재는 “고용 증가세 둔화를 과대해석해서는 안 된다
“고 지적했다.
그는 증가 둔화가 이민 유입 감소 같은 구조적 요인일 수 있으며, 결정 변수는 여전히 4.2%라는 역사적 저점 수준의 실업률이라고 강조했다. 굴스비 총재는 “노동시장은 여전히 꽤 탄탄하고 견고하다
“며, 물가·고용·금융시장의 세 축을 종합적으로 본 뒤 점진적 접근을 택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용어 해설
• 관세(Tariff) : 국가가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소비자 물가를 직접적으로 자극해 수입물가 상승 → 전반적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 미국 은행 간 초과지준을 하루 동안 빌리고 빌려주는 금리로, 미국 금융시스템의 기준점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파생되는 프라임레이트·모기지·기업채 금리 등이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준다.
• 생산자·소비자물가지수(PPI·CPI) : 각각 도매 단계와 소매 단계의 물가 변동을 측정한다. PPI가 상승하면 통상 1~3개월 후 CPI에 전가돼 가계 부담이 가중된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연준이 관세발 비용 전가를 일시적이라 간주한다면, 조기 금리 인하가 현실화될 것이고, 반대로 고착적 물가 압력으로 판단할 경우 연내 동결 또는 소폭 인상 시나리오도 배제하기 어렵다.”
시장 참여자들은 9월 및 11월 FOMC에서의 ‘점도표(Dot Plot) 수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점도표는 위원들의 개별 금리 전망을 점 형태로 시각화한 것으로, 향후 정책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사전 신호다.
현재 선물시장은 4분기 안에 한 차례 25bp(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55% 안팎으로 반영하고 있다. 다만 관세의 파급효과 측정, 고용·임금 모멘텀, 재정·선거 변수 등 불확실성이 혼재돼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결국 연준 의사결정은 물가 안정 목표(2%)와 완전고용이라는 쌍두 정책 목표 사이에서 미세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굴스비 총재가 강조했듯, “과도한 해석이나 조급한 결정은 경기 과열 또는 경착륙을 초래할 위험
“이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향후 발표될 PPI·CPI·고용보고서를 주시하며, 달러화 및 장단기 국채금리의 방향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관세 정책 변동이 공급망·기업 실적에 미칠 영향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