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국채 수익률 상승과 반도체주 약세에 눌리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S&P 500 지수는 -0.64%,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5%, 나스닥 100 지수는 -1.09% 각각 내리고 있다. 파생시장에서 12월 E-미니 S&P 선물(ESZ25)은 -0.70%, 12월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은 -1.15% 하락 중이다.
2025년 11월 13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정부의 재가동 기대가 상당 부분 주가에 선반영된 가운데, 미 10년물 국채(T-note) 수익률이 전일 대비 +4bp(0.04%p) 올라 4.11%를 기록하며 위험자산에 부담을 주고 있다. 전일 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Fed) 총재가 “이처럼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는 인플레이션과 고용 리스크의 균형을 위해 정책금리를 당분간 현 수준에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고 발언한 점도 주식시장 심리를 누르고 있다. 여기에 반도체 업종 전반의 약세가 지수 전반의 하락 압력을 키우고 있다.
“It will likely be appropriate to keep policy rates at the current level for some time” — Susan Collins, Boston Fed President
한편 바차트는 정오 브리핑 성격의 뉴스레터 ‘Barchart Brief’를 소개하며 다수의 구독자가 주중 매일 확인하는 필독 콘텐츠라고 전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와 경제 영향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 저녁 미국 역사상 가장 길었던 연방정부 셧다운을 종료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해당 법안은 일부 부처에 대해 회계연도 전체 예산을 배정하고, 다른 기관은 1월 30일까지 임시로 자금을 지원한다. 또한 일시 휴직(furlough)됐던 연방 공무원들의 임금 지급을 포함하며, 주·지방정부에 대한 연방지급을 재개하고 셧다운 기간에 해고 조치됐던 기관 직원들의 복귀도 담았다.
의회예산국(CBO)은 약 6주 동안의 정부 폐쇄가 금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1.5%포인트 낮출 것이라고 추정했다. 다만 연방 프로그램 재개 및 공무원 체불임금 소급 지급이 이뤄지는 만큼, 그 손실의 절반 이상은 내년 초에 회복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백악관은 정부 셧다운의 영향으로 10월 고용보고서(비농업부문 신규고용)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월간 발표가 공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미 노동통계국(BLS)은 지연된 경제지표의 새로운 발표일정을 담은 캘린더를 며칠 내 공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선물시장은 12월 9~10일 예정된 차기 FOMC에서 -25bp 추가 인하 가능성을 53%로 반영하고 있다시장 베팅 기준.
실적 시즌과 해외 증시
3분기(3Q) 미국 기업 실적 시즌은 마무리 단계다. S&P 500 구성 종목 중 456개사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82%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의 분기가 될 전망이다. 3분기 EPS 성장률은 +14.6%로, 연율 +7.2% 예상치를 두 배 이상 웃돌았다.
해외 증시는 혼조다. 유로 스톡스 50은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이후 -0.12% 하락 전환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0.73% 상승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0.43% 상승했다.
채권·금리 동향
12월 만기 미 10년물 T-노트 선물(ZNZ5)은 -8틱 하락했고,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0bp 올라 4.110%를 기록했다. 정부 재가동에 따라 안전자산 수요가 줄며 가격이 압박받았고, 전일 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의 매파적 발언이 금리 고착화 기대를 강화했다. 더불어 재무부가 이번 주 분기환매(refunding)의 마무리로 30년물 국채 250억 달러 입찰을 예고해 공급 부담이 수익률을 떠받치고 있다. 이번 주 분기환매 총 규모는 1,250억 달러다.
유럽 국채 수익률도 상승세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1주 최저치(2.639%)에서 반등해 +2.3bp 오른 2.666%를 기록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은 +2.1bp 상승한 4.419%다.
유로존 9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2%로 예상치 +0.7%를 하회했다. 영국 9월 산업생산은 -2.0% m/m로 -0.2% 예상을 크게 밑돌며 4년 반 이상 만의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영국 3분기 GDP는 +0.1% q/q, +1.3% y/y로 각각 +0.2%, +1.4% 예상에 못 미쳤다. 금리스왑 시장은 12월 18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3%로 반영한다.
미국 개별 종목 동향
반도체 업종이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 마벨 테크놀로지(MRVL)과 글로벌파운드리즈(GFS)가 -3% 초과 하락 중이며, AMD(AMD), 엔비디아(NVDA), 인텔(INTC), 브로드컴(AVGO)이 -2% 이상 밀리고 있다. 또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ARM 홀딩스(ARM), KLA(KLAC), 램리서치(LRCX)도 -1% 초과 약세다.
아던트 헬스(ARDT)는 -34% 이상 급락했다. 회사가 연간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5억3,000만~5억5,500만 달러로 하향(종전 5억7,500만~6억1,500만 달러) 제시했는데, 이는 컨센서스 6억60만 달러를 크게 밑돈 탓이다.
웹툰 엔터테인먼트(WBTN)는 -21% 초과 하락했다. 회사가 4분기 매출 3억3,000만~3억4,000만 달러를 전망했는데, 시장 기대 3억8,230만 달러에 못 미친 영향이다. 이보타(IBTA)도 -19% 초과 하락했다. 회사의 4분기 매출 가이던스 8,000만~8,500만 달러가 제시됐고, 범위의 중간값이 컨센서스 8,420만 달러를 하회했다.
월트디즈니(DIS)는 -8% 이상 하락하며 S&P 500과 다우 지수 내 낙폭을 주도했다. 4분기 매출 224억6,000만 달러가 컨센서스 228억3,000만 달러를 하회한 영향이다. Dlocal(DLO)은 -7% 초과 하락했다. 3분기 조정 EBITDA 마진 25%가 컨센서스 26.3%에 못 미쳤다.
달러트리(DLTR)는 -3% 초과 하락했다. 골드만삭스가 동사 투자의견을 매도(sell)에서 매수(buy)로 ‘더블 상향’하고 목표주가 103달러를 제시했음에도, 주가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실링드 에어(SEE)는 +19% 이상 급등했다. 클레이턴 듀빌리어 앤드 라이스(CD&R)가 동사 인수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영향이다. 딜라드(DDS)는 +18% 초과 상승했다. 3분기 EPS 8.31달러가 컨센서스 6.26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LY)는 +15% 이상 상승했다. 3분기 매출 3,080만 달러가 컨센서스 2,780만 달러를 상회했으며, 알파(Alpha) 로켓의 발사를 2025년 말에서 내년 초 사이에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앨버말(ALB)은 +5% 초과 상승하며 S&P 500 내 상승을 주도했다. 미즈호가 목표주가를 92달러에서 110달러로 상향했다. 시스코시스템즈(CSCO)는 +4% 이상 올라 다우 및 나스닥 100 내 상승 상위를 차지했다. 회사가 2026년 매출 전망을 600억~610억 달러에서 602억~610억 달러로 높여 제시했으며, 이는 컨센서스 596억4,000만 달러를 상회한다.
오토존(AZO)은 +2% 초과 상승했다. 골드만삭스가 투자의견을 중립(neutral)에서 매수(buy)로 상향하고 목표주가 4,262달러를 제시했다. 나이키(NKE)는 +1% 이상 상승했다. 웰스파고가 투자의견을 비중유지(equal weight)에서 비중확대(overweight)로 상향하고 목표주가 75달러를 제시했다.
실적 발표 예정(2025년 11월 13일)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글로반트(GLOB), NIQ 글로벌 인텔리전스(니엘슨IQ·NIQ), NU 홀딩스(NU), 월트 디즈니(DIS).
용어 설명과 해설
E-미니 선물은 S&P 500, 나스닥 100 등 주요 지수를 소형 계약단위로 거래할 수 있게 한 주가지수 선물로, 기관·개인 모두가 헤지와 투기에 폭넓게 활용한다. T-노트는 만기 2~10년 구간의 미국 재무부 발행 중기 국채를 의미한다. bp(베이시스포인트)는 금리 변동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1bp=0.01%p)다. 분기환매(refunding)는 만기가 돌아오는 국채를 상환하기 위해 재무부가 실시하는 정례 국채 발행으로, 발행 규모 확대는 통상 금리 상승(채권 가격 하락) 압력으로 이어진다.
EBITDA는 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이자·법인세 차감 전 이익으로, 현금창출력을 가늠하는 지표다. 가이던스는 기업이 제시하는 향후 실적 전망, 컨센서스는 주요 애널리스트 전망치의 평균을 뜻한다. 스왑시장의 확률은 금리스왑·OIS 가격에 내재된 정책금리 경로에 기반해 계산되며, 시장 기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 기사
개장 전 연준 금리전망 저울질 속 증시 보합권 — 미국 정부 재가동 이후 투자심리 관망. 관련 기사: Stocks Muted Before the Open as Investors Weigh Fed Rate Outlook After U.S. Reopens
약세장이 장악한 유로화, 지금은 어떻게 거래할까. 관련 기사: The Bears Are in Charge of the Euro. How to Trade the Currency Slump Now.
미 셧다운 종료 임박, 연준 위원 발언 대기 속 S&P 선물 상승. 관련 기사: S&P Futures Climb as U.S. Government Shutdown Nears End, Fed Speak on Tap
AI 과열경계 속 주가지수 선물 하락. 관련 기사: Stock Index Futures Slip on AI Caution
면책 및 고지
본 보도 시점 기준으로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 보유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문서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 공시 정책을 참조할 수 있다. 본문에 담긴 의견과 견해는 필자 개인의 것으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