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채권 시장 동향] 달러 인덱스(DXY)가 0.19% 상승하며 3주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T-note) 수익률이 2.5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어오른 것이 달러 강세의 직접적 배경이다.
2025년 10월 30일(현지시간),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전날 밝힌 “12월 FOMC 회의에서의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는 매파적 발언을 여전히 소화 중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올해 12월 기준금리 25bp(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크게 낮추는 신호로 해석됐다. carryover support(이전 장세의 연속적 지지 효과)로 달러 매수가 유입됐다는 분석이다.
[미·중 무역 완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관세 휴전 연장, 수출 규제 완화, 기타 무역 장벽 축소에 합의한 것도 위험자산 선호와 성장 기대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연방정부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경기 둔화 및 추가 금리 인하 우려가 커지는 점은 달러에 상충 압력으로 작용한다. 현재 선물·스왑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72% 확률로 25bp 인하를, 2026년 말까지 누적 82bp 인하(현행 3.88%→3.06%)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유로화·ECB] EUR/USD 환율은 -0.15% 하락해 2주 만의 최저치로 밀렸다. 달러 강세가 주된 원인이지만, 유로존 3분기 GDP가 전기 대비 0.2%, 전년 대비 1.3% 증가하며 예상(0.1%, 1.2%)을 상회하자 낙폭은 제한됐다.
ECB(유럽중앙은행)는 예견된 대로 예금금리 2.00%를 동결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총재는 “미·EU 무역 합의, 중동 휴전, 미·중 관계 진전이 성장 하방 위험을 완화했다”고 밝혔다. 시장은 12월 18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로만 평가하고 있다.
중앙은행 간 정책 디버전스(금리 방향 차별화)가 유로화의 중장기적 지지 요인으로 거론된다. ECB가 이미 인하 사이클을 마무리한 반면, 연준은 2026년까지 최소 1%포인트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
[엔화·BOJ] USD/JPY는 0.94% 급등, 엔화가 달러 대비 8개월 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일본은행(BOJ)이 정책금리 0.50%를 유지하자 매도세가 확산됐다.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임금 데이터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BOJ는 2025년 일본 GDP 전망을 0.7%(종전 0.6%)로 상향하고, 2025년 코어 CPI 전망은 2.7%로 유지했다.
[금·은·귀금속] 12월물 COMEX 금 선물은 +0.50%(+20.10달러) 오른 온스당 2,020.10달러, 같은 달 은 선물은 +1.24%(+0.592달러) 상승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은 220t의 금을 사들여 전 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1~9월 누적 매입량은 634t에 달한다. 이는 금 가격을 뒷받침하는 핵심 펀더멘털로 평가된다.
유로존 호조 지표와 미·중 무역 완화는 산업금속 수요 기대를 높여 은 가격에도 우호적이다. 다만 달러 강세, 글로벌 금리 상승, 주식시장 강세는 안전자산 수요를 제약해 금·은 가격을 상단에서 압박한다.
최근 S&P500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과 함께 ETF 자금 이탈이 이어지며 귀금속 시장에는 롱 청산(long liquidation) 압력이 발생했다. 실제로 금 ETF 보유량은 지난주 3년 최고치에서 감소했고, 은 ETF도 3.25년 최고치 대비 줄었다.
[용어 설명] carryover support란 전일 또는 이전 장세의 추세·심리가 다음 거래일에도 영향을 미쳐 자산 가격을 지지하는 현상을 뜻한다. bp(basis point)는 0.01%p를 의미하며, 25bp는 0.25%p다. 스왑 금리는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정책금리를 반영해 산출되므로 중앙은행의 정책 힌트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본 기사 작성 시점(2025년 10월 30일) 기준, 필자 Rich Asplund는 언급된 증권에 직접·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상과 같이 달러 강세, 중앙은행 정책, 귀금속 수급 등 복합 요인이 글로벌 자산 가격에 상반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투자자는 금리 경로, 무역 협상, 정부 셧다운 변수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