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금리 상승 여파에 뉴욕증시 혼조 마감

뉴욕 증시는 8월 18일(월) S&P 500 지수(티커: $SPX)가 전일 대비 -0.01% 하락한 채 마감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티커: $DOWI)는 -0.08% 내렸으며, 나스닥 100 지수(티커: $IUXX)는 +0.01% 상승 마감했다. 섹터별로는 천연가스 주식이 약세를 보였고, 일부 기술‧헬스케어 종목이 방어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2025년 8월 1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S&P 500 차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장중 4.35%까지 치솟으며 2주 만에 최고치를 경신, 주가에 하방압력을 가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9월물 E-mini S&P 500 선물-0.03%, E-mini 나스닥 100 선물-0.02%의 낙폭을 기록했다.

다우존스 차트 채권 금리 급등 배경에는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예상 상회가 있다. 투자자들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해석했다. 연방기금선물(FFR) 시장은 9월 -25bp 인하 확률을 지난주 93%에서 84%로 낮춰 반영하고 있다.


지정학‧통상 이슈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유럽 정상들은 워싱턴 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전쟁 종식 조건을 논의했다. 회담 결과에 따라 관세 정책 및 국제유가가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소비 여력에 대한 불확실성도 확대됐다. 월마트, 타깃, 홈디포 등 주요 소매업체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반도체에 대해 차주 또는 다다음 주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차 언급했기 때문이다. 그는 국산화 기업을 제외하겠지만, 100%에서 최대 300%까지의 고세율을 예고해 시장에 부담을 줬다.

미국 경제 지표도 부진했다. 8월 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 주택시장지수가 32로 전월 대비 1포인트 하락, 34를 예상한 시장 전망을 빗나갔다.

나스닥 선물 차트

이번 주 시장의 초점은 관세 관련 추가 발표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진전 여부, 그리고 연준 고위인사들의 발언이다.

주요 일정*(현지 시각): 20일 화요일 7월 주택착공(-1.6% MoM 예상) ‧ 건축허가(-0.4% MoM 예상), 21일 수요일 7월 29‧30일 FOMC 의사록 공개, 22일 목요일 주간 신규실업수당(22만5천 건 예상)·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6.7 예상)·8월 S&P 제조업 PMI(49.8 예상)·7월 기존주택판매(-0.3% MoM 예상), 23일 금요일 제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의장의 경제전망 연설이 예정돼 있다.

해외시장에서는 독일 10년물 금리가 -2.5bp 하락한 2.763%로 마감된 반면, 영국 10년물 금리는 4.748%까지 올라 2.5개월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럽채 금리 혼조는 유럽중앙은행(ECB)의 9월 인하 가능성(5% 확률 반영)과 엇갈린 지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 개념 해설

E-mini 선물은 S&P 500·나스닥 100 등 주요 지수를 1/5 혹은 1/10 규모로 축소해 개인도 거래하기 쉽게 만든 선물계약이다. FOMC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회의로서, 금리 방향을 좌우한다. 연방기금선물은 FOMC의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실시간으로 가격에 반영하는 파생상품이다.


💹 종목별 등락

천연가스 가격 약세 전망에 따라 EQT(-4% 이상), Comstock Resources(-6% 이상), Antero Resources(-5% 이상) 등이 일제히 급락했다. 이외에 Corterra Energy·Range Resources·Expand Energy도 2~3% 하락했다.

인텔(INTC)은 정부가 10% 지분 인수를 논의 중이라는 블룸버그 보도 후 -3% 이상 밀리며 나스닥 100 내 낙폭 1위를 기록했다. 메타플랫폼스(META) 역시 AI 조직 재편 소식으로 2% 넘게 빠졌다.

반면 데이포스(DAY)는 사모펀드 토마 브라보의 인수 협상설에 25% 급등, 듀오링고(DUOL)는 씨티그룹 ‘매수’ 커버리지 개시로 12% 올라 돋보였다. CVS헬스·EPAM시스템즈·유나이티드헬스그룹도 증권사 상향조정 및 2분기 지분변동 공시에 힘입어 1~4% 상승했다.


📊 실적 및 전망

S&P 500 2분기 순익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가 예상된다. 이는 시즌 개시 전 2.8% 증가 전망을 크게 웃돌며 4년 만에 최대 폭이다. 92%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이익 예상을 상회했다.

19일(화) 예정된 실적 발표 기업은 아머 스포츠(AS), 홈디포(HD), 잭 헨리&어소시에이츠(JKHY), 제임스 하디 인더스트리(JHX),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 메드트로닉(MDT), 톨 브라더스(TOL), 바이킹 홀딩스(VIK) 등이다.

*주: 기사 내 날짜와 시각은 모두 미국 동부표준시(EST)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