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금리 상승·연준 매파 발언에 뉴욕증시 하락 마감

미 증시, 금리 부담에 약세…3대 지수 일제히 하락

현지 시각으로 21일 목요일, 뉴욕증시는 S&P 500 지수(-0.4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0.34%), 나스닥 100 지수(-0.46%)가 모두 하락 마감하며 약세를 보였다. 9월물 E-mini S&P 500 선물과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도 각각 ‑0.40%, ‑0.45% 떨어졌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장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주요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장기 국채금리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장중 미 10년물 국채금리가 4.33%(+4bp)까지 오르며 위험자산 심리를 위축시켰다.

특히 소비 둔화 우려가 부각됐다. 월마트(Walmart)가 시장 기대치(주당 0.74달러)를 하회하는 2분기 조정 EPS 0.68달러를 발표하면서 주가가 4% 넘게 밀렸고, 이는 대형 유통주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거시 지표: 고용 둔화 vs. 제조업·주택 지표 개선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3만5,000건(+1만1,000건)으로 2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노동시장의 냉각 조짐을 나타냈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197만2,000건으로 3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반면 8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는 53.3(+4.5p)으로 지난 3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확장 국면을 강화했다. 7월 기존주택 판매 역시 시장 예상(-0.3%)을 뒤엎고 2.0% 증가한 401만 건을 기록했다.

Kansas City Fed 제프리 슈미트 총재는 “인플레이션 위험이 노동시장 위험보다 약간 높다”며 “적절한 수준의 긴축적 통화정책 유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leveland Fed 베스 해맥 총재도 “내일 FOMC 회의가 열린다면 금리 인하를 지지할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발언했다.


정책·지정학 리스크: 관세 확대와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철강·알루미늄·반도체 추가 관세 확대 움직임과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협상 진전 여부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400여 개 소비재 품목에 대한 관세를 확대했고, 향후 반도체에 최대 300% 관세를 시사했다.

연준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22일(금) 경제전망을 밝힐 예정이라 시장의 경계감이 높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72%로, 10월 회의의 추가 인하 가능성을 49%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주요 종목 동향

월마트코스트코가 각각 ‑4%, ‑2%대 하락하며 다우 및 나스닥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항공주 유나이티드·델타·아메리칸·알래스카는 1~2%대 동반 약세를 보였다. 반면, 국내 골판지 업종과 유사한 미국 패키징 업종은 국제페이퍼 감산 소식에 2~6% 급등했다.

중국 소비주 PDD 홀딩스는 상하이종합지수가 10년 만의 최고치로 오른 데 힘입어 4% 이상 상승해 나스닥1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채권·외환: 금리 상단 압력 지속

미 10년물 T-노트 선물 가격은 10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4.328%(+3.7bp)로 올랐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 분트(+4.0bp, 2.757%)와 영국 10년물 길트(+5.7bp, 4.729%) 수익률이 동반 상승했다.

유로존 제조업 PMI(50.5)와 합성 PMI(51.1)가 예상 외로 3년 만의 고점에 도달했으나, 8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5.5(-0.8p)로 4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ECB의 9월 25bp 인하 가능성은 스왑시장에서 3%로 낮게 반영된다.


전문가 해설: 왜 국채금리 상승이 주식에 부담인가?

일반 투자자에게는 “10년물 금리 4.33%”라는 숫자가 추상적으로 들릴 수 있다. 10년물 금리는 기업 자금조달 비용주식의 할인율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특히 고PER(주가수익비율) 기술주일수록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빠르게 하락해 주가가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금리 상승은 달러 강세로 이어져 미국 기업의 해외 매출을 환산할 때 불리하게 작용한다. 반면 채권 투자자에게는 높은 금리가 다시 한번 재투자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mini 선물: CME(시카고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형 주가지수선물로, 표준 선물 대비 계약 단위가 1/5 수준이라 개인·기관 모두 효율적으로 지수 방향성을 거래할 수 있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 산하 위원회로 연간 8차례 정기회의를 개최한다.

BP(베이시스포인트): 1bp는 0.01%포인트를 의미한다. 예컨대 25bp 인상은 0.25%포인트 인상이다.


향후 일정으로는 22일(금)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서 파월 의장이 물가·고용 균형을 어떻게 평가하느냐가 시장 변동성의 핵심 요인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