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7일(현지시간) 마감 결과, S&P500 지수는 -0.08% 하락한 반면 나스닥100은 +0.32% 상승하며 주요 지수가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0.51% 떨어졌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4%,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38%로 마감했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 기술주 강세로 지수는 상승 출발했으나 장기국채 금리 급등과 일부 대형주의 실적 실망이 맞물리며 종가 기준 혼조세로 돌아섰다.
■ 기술주 상승 요인: 관세 유예 및 지정학적 완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미국 내 생산 의지를 입증하는 기업에는 면제 조치를 적용하겠다”
고 언급했다. 이 발표로 AMD(+5%), ASML·램리서치(+3% 이상) 등 반도체주가 강세를 주도했다. 아울러 크렘린궁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정상회담을 수일 내 개최한다고 확인하면서 지정학적 위험이 다소 완화됐다.
■ 국채 금리 급등과 경매 부진
그러나 미 재무부의 300억 달러 규모 30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bid-to-cover) 2.27배로 최근 10차 평균(2.43배)을 크게 밑도는 저조한 수요가 확인됐다. 이에 10년물 국채금리는 +1.8bp 오른 4.244%까지 치솟으며 주식시장 전반의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작용했다.
■ 대형 실적 쇼크: 포티넷·릴리
사이버보안 업체 포티넷은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면서 -22% 폭락, S&P500과 나스닥100 양대 지수의 낙폭을 확대시켰다. 제약사 일라이 릴리 역시 체중감량 신약 ‘오포르글리프론’의 임상 결과가 기대치를 하회해 -14% 급락했다.
■ 연준 통화정책 기대 변화
샌프란시스코 연은 메리 데일리 총재는 “노동시장이 둔화되고 있어 수개월 내 금리 조정 필요성이 커졌다”고 밝혔고, 애틀랜타 연은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금년 25bp 1회 인하” 전망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시장은 9월 FOMC 25bp 인하 가능성 91%로 반영하며 전주(40%) 대비 급격히 비둘기파적으로 기울었다.
■ 경제 지표: 노동시장·생산성·신용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7,000명 증가한 22만6,000건으로 예상치(22만2,000건)보다 악화됐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도 197만4,000건(3년 9개월래 최고)으로, 재취업 지연이 확인됐다.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전기 대비 +2.4%(예상 +2.0%)로 상회했으며, 단위노동비용은 +1.6%(예상 +1.5%) 상승했다. 6월 소비자신용은 73억7,100만 달러 늘어나 컨센서스(75억 달러)를 약간 밑돌았다.
■ 해외 경제·통화 동향
중국 7월 수출은 전년비 +7.2%로 예상(+5.6%)을 상회했고, 수입도 +4.1%로 1년 만의 최대 폭 증가를 기록했다. 독일 6월 산업생산은 전월비 -1.9%로 11개월 만에 최저였으나, 동일 기간 수출(+0.8%)·수입(+4.2%) 모두 예상을 웃돌았다. 한편 영란은행(BOE)은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해 4.00%로 조정하며 “추가 인하는 점진적·신중하게 단행”할 것이라 밝혔다.
■ 섹터 및 개별종목 동향
반도체주 외에도 더치 브로스(+22%), 셀시어스 홀딩스(+17%), 듀오링고(+13%) 등 실적 호조 기업이 급등했다. 반면 크록스(-29%), 에어비앤비(-8%), 엘프 뷰티(-9%) 등이 가이던스 하향 또는 성장 둔화 우려로 급락했다.
용어 해설
• E-미니 선물은 S&P500·나스닥100 등 주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소형(“mini”) 선물계약으로, 장외 거래시간대 시장 방향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 Bid-to-Cover Ratio는 국채 입찰에서 투자자들의 응찰물량을 발행물량으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수요 강도를 의미한다.
■ 전문가 시각
시장 참가자들은 “장기금리 상승이 기술주 랠리의 지속 여부를 가를 핵심 변수”라고 진단한다. 또한 관세 정책이 공급망 재편에 미칠 파급효과와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간 상호작용이 향후 변동성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개별 종목과 지수에 대한 투자 판단은 독자 책임이며, 정보 제공 목적임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