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면화 선물, 주중 중반에도 하락 지속…달러 강세·유가 상승 압력

[시장 동향] 31일(현지 시각) 수요일 정오 기준, 뉴욕 ICE 면화 선물 가격이 전일 대비 29~52포인트 하락하며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투자 심리를 짓누르는 가장 큰 요인은 미 달러 인덱스가 0.588포인트 급등한 99.235로 상승한 점과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선물이 배럴당 0.98달러 오른 점으로 꼽힌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 강세는 달러 표시 상품인 면화의 상대 가격 매력을 떨어뜨리는 한편, 원자재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짐에 따라 헤지 펀드의 포지션 조정 속도가 빨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가 상승 역시 투자자들의 인플레이션 경계심을 키우며 면화 가격을 추가로 압박하는 모습이다.

[정책 변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에 “8월 1일부터 인도에 대한 대미(對美) 관세를 25%로 인상하겠다”는 글을 올렸다. 그는 그 근거로 미‧인도 간 상품수지 적자를 지목했으며, 아울러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대량 구매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 발언은 단기적으로 미·인도 교역 악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를 낳으며 면화 시장에도 부정적 심리를 더했다.

[현물·지수 동향] 현물 전자거래 플랫폼 ‘더 심(The Seam)’에서는 전일 309베일(1베일≈218kg)파운드당 60.29센트에 거래됐다. 국제 면화 현물 기준가인 ‘코틀룩 A 지수’는 7월 29일 기준 10포인트 오른 78.80센트를 기록했다. 같은 날 ICE 인증 재고(면화 선물 인도 가능 물량)는 21,617베일로 변동이 없었고, 미 농무부(USDA) 조정 세계가격(AWP)은 전주 대비 23포인트 상승한 파운드당 54.95센트로 고시돼 이번 주 목요일까지 적용된다.

Cotton Futures Chart

[선물 가격] 25년 10월물은 52포인트 내린 65.78센트, 25년 12월물은 27포인트 하락한 67.40센트, 26년 3월물은 29포인트 떨어진 68.76센트에 거래되고 있다.

“본 기사 작성 시점에서 저자인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 투자를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는 디스클레이머가 함께 명시돼 있다. 해당 문서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용어 해설] 조정 세계가격(AWP)은 USDA가 매주 고시하는 면화의 국제 평균 가격으로, 미국 농가가 보조금 및 대출 상환 시 기준가로 활용한다. 코틀룩 A 지수는 영국 코틀룩사가 발표하는 현물 면화 가격 벤치마크로서, 전 세계 주요 원면 품질의 가중 평균값이다. ICE 인증 재고는 뉴욕 ICE 선물 거래소에 실물 인도용으로 등록된 면화 재고를 의미하며, 선물 만기 시 실물 인도 가능 물량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전문가 시각] 최근 달러 강세와 정책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면화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통상 달러가치가 1% 상승할 때 주요 농산물 지수는 0.5~0.7% 약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어, 달러 인덱스 100선 돌파 여부가 단기 방향성을 가를 핵심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유가 상승은 면화 생산·운송 비용을 높여 장기적으로는 가격 지지 요인이 될 수 있으나, 당장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수요 위축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인도 관세 인상 예고는 아직 의회 및 행정부의 공식 절차를 밟지 않은 상태다. 향후 실제 발효 여부와 인도 정부의 대응이 면화류 교역에 어떤 변동성을 가져올지 주목된다. 시장 참가자들은 다음 주 발표될 미국 농무부 주간 수출 판매 보고서전미 면화 품질 평가를 통해 수요·공급 균형을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US Dollar Index

[결론 및 전망] 단기적으로는 달러 강세, 정책 리스크, 원자재 인플레이션이 동시 작용하며 면화 선물에 하방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ICE 인증 재고가 2만 베일 초반 수준에 머물고 있고, AWP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는 점은 생산 비용 상승과 맞물려 중장기적 가격 반등 여지를 남긴다. 투자자들은 매수·매도 구간을 구분하기 위해 기술적 지지선인 65센트대 추이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