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경기 우려 겹치자 뉴욕증시 급락…S&P·나스닥 2주래 최저

[주요 지수 급락]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관세 확대미국 경기지표 부진에 동반 압박을 받으며 크게 하락했다.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1.60% 밀린 2주 만의 최저치를 찍었고, 나스닥100 지수 역시 -1.77% 급락해 2주 저점으로 후퇴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1.35% 떨어지며 5주 만의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2025년 8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마감 기준 9월 인도 S&P500 E-미니선물(ESU25)은 -1.67%, 9월 인도 나스닥 E-미니선물(NQU25)은 -1.87% 급락했다. 이는 장중 글로벌 투자심리가 급속도로 냉각됐음을 시사한다.


■ 트럼프발 ‘관세 쇼크’ 재현
전일 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최소 15% 관세, 전 세계에 대해선 10% 최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캐나다 제품 일부에는 기존 25%에서 35%로 상향된 신규 세율이 적용된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관세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로 치솟는다”고 분석했다.

투자자들은 글로벌 교역 둔화→기업 이익 악화→경기침체 우려의 도미노를 경계하며 위험자산 비중을 급격히 축소했다. 실제로 장중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Inflation Hedge 선호에도 불구하고 4.224%(1개월 최저)까지 내려앉았다.


■ 경기 ‘경고등’ 잇따라 점등
같은 날 발표된 7월 비농업부문 고용+7만3,000명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10만4,000명)보다 크게 부진했다. 6월 수치도 당초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4.2%로 0.1%p 상승했지만, 평균 시간당 임금은 전년 대비 3.9% 올라 임금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제조업 체감경기도 악화됐다. 7월 ISM 제조업지수는 전달 대비 1.0p 떨어진 48.0을 기록, 9개월 만에 가장 가파른 수축세를 나타냈다(50 이하=위축). 같은 달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도 61.8에서 61.7로 하향 조정됐다.

미 연준(Fed) 위원들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고용보다 목표치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며 2025년 금리 인하 예상치를 상향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하지만 오늘 발표된 고용지표는 분명 실망스러운 결과”라고 평했다.


■ 채권시장, 조기 금리 인하 베팅
고용·제조업 지표 부진은 즉각 ‘연준 완화’ 기대를 부채질했다. 페드워치(FedWatch) 자료에 따르면 연방기금선물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4%까지 반영, 발표 전 40%에서 두 배 넘게 뛰었다. 10월 회의 인하 가능성도 68%로 높아졌다.

유럽 채권수익률도 동반 하락했다. 10년물 독일 국채 금리는 2.639%(1주 최저)까지 밀렸고, 영국 길트 10년물 금리도 4.509%(4주 최저)로 내려갔다. 반면 유로존 7월 소비자물가는 2.0%로 예상치(1.9%)를 상회해 유럽중앙은행(ECB)의 정책 딜레마가 심화하고 있다.


■ ‘마그니피센트 세븐’ 실적 주목…그러나 아마존 쇼크
이번 주는 2분기 실적 시즌 중 가장 바쁜 주로, S&P500 기업의 38%가 실적을 발표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현재까지 55%의 기업이 실적을 내놓았으며 82%가 이익예상을 상회했다고 집계했다. S&P500 전체 EPS 성장률은 시즌 전 예상치(+2.8%)를 웃도는 +4.5%로 추산된다.

그러나 아마존닷컴(AMZN)은 3분기 영업이익을 155억~205억 달러로 제시, 컨센서스(194억2,000만 달러) 중간값을 밑돌았다. 주가는 -7% 넘게 급락, 기술주 전반을 짓눌렀다. 반도체 업종도 마벨 테크놀로지(MRVL, -7% 이상)를 필두로 AMD·인텔 등 다수 종목이 2~7%가량 하락했다.

관세 확대와 실망스러운 실적 가이던스가 겹치면서 기술주 투자심리가 일제히 얼어붙었다“(뉴욕 소재 한 대형 운용사 매니저)


■ 종목별 희비

하락 종목
• 플루어(FLR): EPS, 가이던스 모두 부진하며 -32% 급락.
• 이스트먼 케미컬(EMN): 2분기 EPS 실망, 주가 -21%.
• 코인베이스(COIN): 매출 미스, -14%.
• WW 그래인저(GWW), 모더나(MRNA), 아비스 버짓(CAR) 등도 4~7%대 낙폭.

상승 종목
• 레딧(RDDT): 매출 서프라이즈로 +20% 급등.
• 주택건설주(DHI, LEN, PHM, TOL): 장기금리 하락 수혜로 2~4% 상승.
• 모놀리딕 파워 시스템즈(MPWR): EPS 호조, +7%.
• 킴벌리클라크(KMB): 어닝비트, +4%.
• AES, 일라이 릴리(LLY)도 2~3% 강세.


■ 알아두면 좋은 용어

• E-미니 선물(contract): S&P500·나스닥 등 주요 지수를 기반으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소형 선물계약을 말한다. 개인·기관투자자 모두 지수 방향에 레버리지 투자를 할 때 활용한다.
• 마그니피센트 세븐: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메타·엔비디아·테슬라 7개 초대형 기술주를 아우르는 용어다.
•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의 최고 의결기구다.


■ 향후 일정
8월 7일 0시 이후 트럼프 관세 인상안이 발효될 예정이며, 9월 16~17일과 10월 28~29일 두 차례 FOMC 회의가 예정돼 있다. 1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애플과 아마존의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어서 시장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기사에 언급된 데이터·전망치는 모두 작성 시점 기준이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