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관세 충격’은 왜 장기 변수인가
2025년 여름,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헤드라인 기준 전월 대비 0.2% 상승에 머물렀지만 시장은 오히려 긴장감을 키웠다. 이유는 명확하다. 평균 18%까지 높아진 고율 관세가 아직 본격적으로 가격에 전가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JP모건·UBS 등 월가 리서치 하우스들은 “연말까지 소비자가 부담할 관세 전가율이 65~75%에 이를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은다. 본 칼럼은 ①물가 구조, ②공급망 재배치, ③통화정책 궤적이라는 세 축을 통해 ‘관세발 인플레이션’이 미국 주식·경제에 미칠 1년 이상의 장기 여파를 다층적으로 해부한다.
1. 관세 스케치: 숫자로 보는 ‘새 질서’
- 2024.02: 1차 관세—평균 3%, 800억 달러 규모.
- 2024.04: 2차 관세—평균 11%, 2,200억 달러 규모.
- 2025.05: 3차 관세—평균 18%, 3,700억 달러 규모, 디 미니미스(800달러 이하 면제) 예외 8월 29일 종료.
세 차례에 걸친 조치로 미국 내 총 수입물량의 74%가 관세 적용 대상이 됐다. GDP 대비 관세 부과 비율(1.1%)은 1930년 스무트-홀리 법 이래 최고치다.
2. 물가 구조: ‘점착성’의 귀환
관세는 두 단계로 가격에 전이된다. 1단계는 기업 이윤 축소(마진 스퀴즈), 2단계는 소비자 가격 전가다. 이미 커피 14.5%·차·향신료 11.8% 인상처럼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은 1단계 고통을 넘어 2단계 전가 국면에 진입했다. 클리블랜드 연은의 점착성 CPI는 3개월 연율 3.8%로 반등, 연준 목표 2%를 크게 상회한다.
지표 | 2023 | 2024 | 2025F |
---|---|---|---|
헤드라인 CPI | 3.4% | 2.9% | 3.3% |
핵심 PCE | 3.1% | 2.8% | 3.4% |
점착성 CPI | 3.2% | 3.0% | 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