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루디) 줄리아니가 명예훼손 소송과 관련해 조지아 선거 직원들에게 배상 판결을 받은 뒤 귀중품 인도를 위해 출석하기 위해 미국 뉴욕의 연방지방법원에 도착한 장면이 2024년 11월 26일 촬영됐다Brendan McDermid | Reuters. 이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인 변호사이자 전 뉴욕시장으로, 2020년 대선 뒤집기 시도와 관련된 핵심 당사자 중 한 명으로 지목돼 왔다.
2025년 11월 10일, A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전 개인 변호사 루디 줄리아니와 전 비서실장 마크 메도스를 포함해 2020년 대통령선거 결과 뒤집기 시도를 지지하거나 지원한 것으로 비판받아 온 인사들에 대해 사면을 단행했다. 이 소식은 미 법무부 관계자가 확인했다.
법무부의 사면 담당 변호사인 에드 마틴(Ed Martin)은 소셜미디어에 ‘전면적이고, 완전하며, 무조건적인’(“full, complete, and unconditional”) 사면을 명시한 서명된 사면 포고문을 게시했다. 포고문에는 보수 성향 변호사인 시드니 파월(Sidney Powell)과 존 이스트먼(John Eastman)의 이름도 포함돼 있다. 특히 이 포고문은 사면 적용 대상에 트럼프 본인은 해당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대통령 사면은 연방법 위반에 대해서만 효력을 가지며, 포고문에 거론된 트럼프 측근들 가운데 누구도 2020년 대선과 관련해 연방 차원의 형사 기소를 받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민주당 조 바이든에게 패배한 2020년 대선의 역사를 다시 쓰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번 결정은 또한 2021년 1월 6일 미 연방의사당 난입 사건(Jan. 6)으로 기소된 수백 명의 지지자들—법 집행관 공격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들까지 포함—에게 내렸던 대규모 사면에 이은 후속 조치다.
사면 포고문은 트럼프의 권력 유지를 돕거나 그에 가담한 것으로 기소된 이들에 대한 기소 시도를 “미 국민에게 자행된 중대한 국가적 불의”라고 규정했다. 포고문은 또 이번 사면이 “국가적 화해의 과정(the process of national reconciliation)”을 이어가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월요일(현지) 논평 요청 이메일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고 AP는 전했다. 이에 따라 이번 사면 조치에 대한 행정부 차원의 공식 입장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사면 대상에는 2020년 대선 당시 트럼프를 위한 ‘가짜 선거인단’(fake electors)으로 활동하고, 바이든의 승리가 확정된 주들에서 자신들이 합법적 선거인임을 확인하는 허위 인증서를 제출한 혐의로 주(州) 검찰에 의해 기소된 공화당 인사들도 포함됐다.
한편, 트럼프 본인은 2020년 대선 패배를 뒤집으려 했다는 혐의로 중범죄(felony) 기소를 당했으나, 특검 잭 스미스(Jack Smith)가 제기한 이 사건은 2025년 11월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를 상대로 한 트럼프의 승리 이후 현직 대통령 기소를 지양하는 법무부 정책에 따라 취소(abandoned)됐다.
줄리아니, 메도스 등 포고문에 이름이 오른 여러 인사는 2020년 대선과 관련해 각 주(州) 검찰에 의해 기소된 바 있으나, 상당수 사건은 사법 절차가 교착상태에 빠졌거나 지지부진하게 진행 중이다. 미시간에서는 9월, 트럼프를 해당 경합주에서의 승리자로 허위 인증하려 한 혐의를 받던 공화당 인사 15명에 대한 사건을 재판부가 기각했다.
핵심 인물 및 기관
– 도널드 트럼프: 2020년 대선 뒤집기 시도와 관련해 측근 사면을 단행한 미국 대통령. 다만 포고문상 본인에 대한 사면 적용은 제외됨.
– 루디 줄리아니: 전 트럼프 개인 변호사, 전 뉴욕시장. 명예훼손 사건 관련 소송과 2020년 대선 이의 제기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한 인물.
– 마크 메도스: 백악관 전 비서실장. 2020년 대선 이후 백악관 내 조율을 담당한 핵심 참모.
– 시드니 파월·존 이스트먼: 보수 성향 변호사들로, 대선 결과 무효화 논리 전개에 관여한 인사.
– 잭 스미스 특검: 트럼프 관련 연방 형사 사건을 지휘했으나, 트럼프 당선 이후 법무부의 현직 대통령 기소 지양 정책에 따라 사건이 중단됨.
사면의 법적 범위와 한계
대통령 사면권은 미국 헌법에 근거하며 연방법 위반에만 미친다. 따라서 주(州) 차원의 형사 사건에는 직접 효력이 없다. 이번 포고문에 이름이 오른 인사들 중 상당수가 연방 기소가 아닌 주 검찰 기소 대상이었다는 점에서, 이번 사면은 법적 효력보다는 상징성과 정치적 메시지의 성격이 보다 강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포고문이 ‘국가적 화해’를 강조하고 “중대한 국가적 불의”라는 표현을 사용한 대목은, 사법 절차의 정당성 논란 속에서 정치적 프레이밍을 시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포고문이 트럼프 본인을 사면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명시한 것은, 현직 대통령과 사면권 남용에 대한 논쟁을 의식한 조치로 읽힌다. 다만 백악관이 즉각 논평을 내지 않은 상황에서, 이 조치가 향후 주(州) 차원의 사건 진행이나 연방-주 권한 관계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는 추가 관찰이 필요하다.
용어 설명 및 배경
– 가짜 선거인단(fake electors): 미국 대선에서 각 주의 선거인단은 주별 확정 승자에 따라 구성된다. 2020년 대선 당시 일부 공화당 인사들은 바이든이 승리한 주들에서 자신들을 ‘합법적 선거인’으로 인증하는 문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이를 허위 인증서 제출로 보고 주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왔다.
– 특별검사(Special Counsel): 법무부 장관이 임명하는 독립적 지위의 검사로,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해야 하는 민감 사건을 담당한다. 잭 스미스는 트럼프 관련 연방 사건을 맡았으나, 현직 대통령 불기소 관행에 따라 소추가 중단됐다.
– 1월 6일 사건: 2021년 1월 6일, 트럼프 지지자들이 워싱턴 DC 연방의사당에 난입해 의회 합동회의의 선거인단 개표 절차가 일시 중단됐다. 수백 명이 기소됐고 상당수는 법 집행 방해와 폭력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연방-주 이원 사법체계: 미국은 연방법과 주법이 병존한다. 대통령 사면은 연방법 사건에 한정되며, 주법 위반은 각 주의 주지사 사면 또는 사면 위원회의 권한으로 남는다.
향후 전망
이번 트럼프의 사면은 관련 인사들의 연방 차원의 형사책임을 원천 차단하는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정치·사회적 논쟁을 재점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시간에서 15명의 공화당 인사 사건이 기각되는 등 일부 주(州) 사건은 이미 동력을 잃고 있으나, 다른 주에서는 수사가 계속되거나 공소 유지가 이뤄지고 있다. 포고문이 강조한 ‘국가적 화해’가 실제 분열 완화로 이어질지, 또는 사법 정의와 책임의 문제를 둘러싼 새로운 갈등을 촉발할지는 향후 법원 판결과 정치 일정에 따라 가늠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