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삭스는 CTA(Commodity Trading Advisors, 원자재·선물 기반의 시스템 트레이더)가 다가오는 한 주 동안 시장의 모든 시나리오에서 소폭의 주식 순매도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분석은 골드만 삭스의 주식 파생상품·자금흐름(derivatives & flows) 전문인 컬렌 모건(Cullen Morgan)이 고객 커뮤니케이션에서 밝힌 내용이다.
2025년 11월 4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모건은 “CTA가 다음 주 전반적인 시장 조건과 무관하게 소규모의 매도 압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러한 흐름이 지난주 이 그룹이 전 세계 주식을 약 12억 달러 규모로 처분한 데 이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모건은 고객 메모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포지셔닝은 여전히 높으며, 94번째 백분위에 위치해 있다.”
그는 이어 이번 주 주가가 유의미하게 하락할 경우 CTA가 최대 320억 달러까지 노출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트렌드-팔로잉과 리스크 파리티 등 규칙 기반 전략이 손실 확대 국면에서 레버리지 축소 및 포지션 감축을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모건은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S&P 500 지수의 핵심 레벨도 제시했다. 단기short-term 기준 6,679포인트와 중기medium-term 기준 6,386포인트가 그 수치다. 그는 이 레벨들이 시스템 매매의 신호 전환과 포지션 조정의 기술적 경계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지목했다.
핵심 포인트 요약
– 매매 방향: 다가오는 주 전 시나리오에서 CTA는 소폭의 주식 순매도가 예상됨.
– 직전 동향: 지난주 글로벌 주식 약 12억 달러 매도의 연장선.
– 포지션 상태: 포지셔닝 94백분위로 역사적 분포 상단에 근접.
– 변동성 확대 시: 시장이 크게 하락하면 최대 320억 달러 노출 축소 가능.
– 관전 포인트: S&P 500 6,679(단기)·6,386(중기) 레벨.
맥락과 해설: CTA는 무엇이며, 왜 중요할까
CTA는 주로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을 활용해 주식, 채권, 원자재, 통화 등 다양한 자산에 시스템 규칙에 따라 투자하는 운용사를 말한다. 흔히 트렌드-팔로잉(추세추종) 전략을 구사하며, 가격이 상승 추세면 매수 노출을 확대하고 하락 추세면 매도 또는 노출 축소로 대응한다. 이 과정에서 레버리지 관리와 변동성 타깃팅이 핵심인데, 변동성이 커지거나 손실이 발생하면 노출을 줄여 리스크를 일정 범위로 되돌리는 메커니즘이 작동한다. 이러한 특성은 시장 하락 구간에서 동시다발적 감축을 유발해 단기 유동성과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포지셔닝 94백분위’라는 표현은, 과거 분포 대비 현재의 위험노출 수준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구간임을 뜻한다. 예를 들어 같은 전략과 규칙으로 산출한 과거 노출 히스토리를 0~100의 백분위로 환산하면, 94%는 상단부에 해당한다. 이 구간에서는 리스크 한도나 변동성 타깃 관점에서 감축 신호가 촘촘해지며, 가격 충격 발생 시 기계적 디레버리징이 연쇄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모건이 언급한 ‘최대 320억 달러’는 이 같은 메커니즘 하에서 단기간 실행될 수 있는 노출 축소의 상한을 가늠하게 해주는 지표다.
한편, ‘모든 시나리오에서 소폭 매도’라는 메시지는 방향성을 단정한다기보다, 현재의 높은 포지션과 규칙 기반 리밸런싱이 순공급(매도) 쪽으로 약하게 기울어져 있다는 의미다. 즉, 펀더멘털 변화가 없더라도 규칙에 따른 정기적·조건부 재조정만으로도 순매도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현물·선물 베이시스와 옵션 변동성 곡선에 미세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단기 유동성 상황과 맞물려 일중 변동을 확대할 수 있다. 다만 ‘소폭’이라는 단서는 방향은 매도이나 강도는 제한적일 수 있음을 내포한다.
S&P 500 핵심 레벨의 의미
모건이 제시한 6,679(단기)와 6,386(중기) 레벨은 체계적 전략의 트리거로 종종 거론되는 지점과 맞닿아 있다. 이런 핵심 가격대는 추세 신뢰도, 손절·청산 규칙, 레버리지 캡/컷 등과 연동돼, 돌파 또는 이탈 시 매매 방향·규모에 영향을 준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해당 레벨 근처에서 체결 강도, 호가 공백, 옵션 델타·감마 변화를 병행 관찰함으로써 흐름의 질과 유동성의 얕음/깊음을 가늠할 수 있다.
용어 설명
– CTA: 규칙 기반으로 선물·옵션을 활용해 다자산에 투자하는 운용사 또는 자문사. 흔히 추세추종 전략을 구사한다.
– 글로벌 주식 처분: 지역 구분 없이 전 세계 주식 현물·파생 포지션의 축소 또는 청산을 포함한다.
– 노출(Exposure) 감소: 총 또는 순 포지션 규모를 줄여 위험을 낮추는 행위. 변동성 타깃팅과 리스크 한도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
– 백분위(Percentile): 과거 분포에서 현재 값의 상대적 위치. 94백분위는 상위 6% 이내의 높은 수준을 뜻한다.
– 소폭 매도: 거래량이나 체결 강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순매도를 의미한다.
기사 출처 및 편집 고지
본 기사는 AI의 지원을 받아 생성되었으며 에디터의 검수를 거쳤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매체의 이용약관(T&C)을 참조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