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발] 골드만삭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거센 비판에도 불구하고 “관세로 인한 최종 부담은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기존 연구 결과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13일(현지시간),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데이비드 머리클(David Mericle)은 CNBC 프로그램 ‘스콰크 온 더 스트리트(Squawk on the Street)’에 출연해 “해당 연구 결과를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4월에 부과된 가장 최근 관세가 2월 관세와 동일한 패턴을 따른다면, 가을까지 소비자가 관세 비용의 3분의 2가량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서 골드만삭스 CEO 데이비드 솔로몬에게 “새로운 이코노미스트를 고용하라”거나 “직에서 물러나라”고 공개적으로 압박했다.
■ 관세 부담 전가 메커니즘
머리클이 언급한 보고서는 엘시 팽(Elsie Peng) 이코노미스트가 지난 주말 배포한 연구 노트로, 지금까지는 수출업체와 기업이 상당 부분 관세 비용을 흡수해 왔으나 앞으로는 ‘소비자 가격’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소비자 부담 비중이 약 66%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의 핵심 물가 지표인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음식 및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기준으로 연말까지 3.2%에 도달할 전망이다. 이는 6월 기록한 2.8%를 상회하며, Fed 목표치 2%를 웃돈다.
“미국 내에서 생산하며 무역 장벽으로부터 보호받는 기업은 가격 인상이 용이하다. 이는 이익 증가로 이어지며, 소비자가 결국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 데이비드 머리클
■ 트럼프 ‘금리 인하’ 요구와 Fed의 고민
머리클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요구해 온 ‘추가 금리 인하’가 일정 부분 실현될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노동시장 둔화가 연준의 최대 관심사가 되고 있어, 한 차례성 가격 상승은 통화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완만한 상승에 그치고, 같은 달 비농업부문 고용이 예상보다 부진했으며 두 달 치 수치가 하향 수정되자, 시장에서는 올해 남은 세 차례 FOMC 회의마다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강화됐다.
■ 용어 설명Glossary
PCE 물가지수: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rice Index)는 미국 경제 내 소비자 지출을 기반으로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연준이 가장 중시한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 2022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으로, 트위터(현 X)의 대안으로 간주된다.
■ 전문가 시각
이 사안은 관세 정책의 2차 효과가 소비자 물가와 통화정책이라는 두 축을 어떻게 교차시키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기업이 관세 충격을 장기간 떠안을 경우 마진 압박·투자 위축·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지만, 소비자 전가는 물가 상승 압력을 직접 자극한다. 따라서 연준은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면서도 노동시장 냉각 여부를 정밀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세가 고율(高率)·광범위하게 유지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탈중국화’ 움직임이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미국 내 제조업 회귀(Reshoring)를 견인할 수 있으나, 단기 비용 상승과 기술 인력 수급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당국의 균형 잡힌 대응이 요구된다.
■ 결론 및 전망
골드만삭스와 트럼프 대통령 간 공방은 ‘정치적 수사’와 ‘경제학적 분석’이 충돌하는 전형적 장면으로 평가된다. 관세 정책이 2024년 대선 기간 중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부상하면서, 경제 데이터와 정책 메시지 간 괴리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소비자 물가, 기업 실적, 노동시장 지표 등 후행·선행 지표가 실제로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향후 정책·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것이다. 투자자와 기업은 관세 변동 리스크를 면밀히 관찰하며, 공급망 다변화와 가격 전략 재조정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