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부담과 대형 기술주의 약세에 밀려 하락 마감했다. 이날 S&P 500 지수는 -1.17%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53% 내렸으며, 나스닥 100 지수는 -2.07% 급락했다. 선물시장에서도 12월 E-미니 S&P가 -1.17%, 12월 E-미니 나스닥이 -2.08% 하락했다. S&P 500은 1.5주 만의 저점으로 밀렸고, 다우와 나스닥 100은 1주 저점으로 내려앉았다.
2025년 11월 5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AI 대표주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가 -7%대 급락하며 AI 인프라 관련 종목 전반의 약세를 주도했다. 팔란티어는 3분기 매출이 예상을 상회했음에도, 주가매출비율(P/S)이 85배까지 치솟아 S&P 500 종목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면서 극단적 고평가 우려를 자극했고, 이에 따른 롱 포지션 청산이 촉발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초대형 기술주와 반도체주의 동반 약세가 지수 전반에 하방 압력을 더했다.
“중국 홍콩금융관리국(HKMA) 서밋에서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가 12~24개월 내 10% 이상 조정 가능성을 경고함에 따라, 고평가 경계심이 자산시장 전반의 리스크오프 심리를 강화했다.”
양사는 S&P 500이 4월 저점 대비 +35% 이상 급등해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에는 가격에 대한 신중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2bp 하락한 4.09%로 내려가 밸류에이션 부담을 일부 상쇄했다.
미국 10월 Wards 자동차 총판매는 1,532만 대로 예상(1,550만 대)을 밑돌며 14개월 최저를 기록했다. 연준(Fed)의 다음 회의(12월 9~10일)에서 -25bp 추가 인하가 이뤄질 확률은 69%로 가격에 반영됐다. 시장은 또한 수요일 미국 연방대법원 공개변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reciprocal) 관세’ 합법성에 대한 심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하고 있다. 하급심은 이미 1977년 제정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의 비상권을 근거 없음으로 판단해 해당 관세를 위법으로 봤다. 연방대법원이 이를 확정할 경우, 이미 걷힌 $800억+ 규모의 상호·펜타닐 연계 관세가 환급될 수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은 무역법 232·301·201조 등 근거가 명확한 조항 범위로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대법원 최종 판단은 올해 말 또는 2026년 초로 예상된다.
실적 시즌은 이번 주 S&P 500 구성 136개사가 실적을 내며 정점을 향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공시한 기업의 80%가 예상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흐름이다. 다만 3분기 이익증가율은 전년 대비 +7.2%로 최근 2년래 최소폭이 예상되고, 매출증가율도 +5.9%로 2분기(+6.4%) 대비 둔화될 전망이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은 6주 차에 접어들며 역대 최장 기록을 이어갔다. 각종 정부 통계 발표 지연과 행정 차질이 누적되며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시장 심리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해외 증시도 약세였다. 유로스톡스50은 2주 저점으로 밀리며 -0.34%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은 -0.41% 내렸다. 일본 닛케이225는 사상 최고치 수준에서 후퇴하며 -1.74% 하락 마감했다.
금리·채권에서는, 12월 만기 미 10년물 T-노트가 +3.5틱 상승했고, 10년물 수익률은 -2.5bp 하락한 4.085%수익률를 기록했다. 주가 급락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가 국채 매수세를 자극했다. 셧다운 장기화는 추가 실업·소비 위축을 통해 성장둔화를 심화시킬 수 있어, 연준의 완화 지속 여지를 넓힌다는 해석도 기저 지지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 금리도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1.3bp 하락한 2.654%, 영국 10년물 길트는 -1.0bp 하락한 4.425%로 마감했다. 에르키 리언(ECB) 위원은 “유로존 성장은 부진하지만 회복력을 보이며, 물가 리스크는 양방향”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화·식품 가격과 공급 차질은 상방, 에너지 가격 하락·유로 강세·임금압력 완화는 하방 요인이라고 설명하며, “정책결정의 완전한 유연성을 유지하고 특정 금리 경로에 구속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야니스 스투르나라스(ECB) 위원은 무역정책 불확실성, 국제적 지정학 긴장, 프랑스 정치 불확실성 등으로 유로존 성장전망에 다수의 하방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스와프시장은 12월 18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6%로 반영 중이다.
종목별 동향(미국)에서는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전반적인 약세를 주도했다. 테슬라(TSLA)가 -5% 넘게 하락했고, 엔비디아(NVDA)는 -2%대 약세였다. 알파벳(GOOG)도 -2%대, 아마존닷컴(AMZN)·메타(META)는 -1%대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0.52% 내렸고, 애플(AAPL)만 +0.37%로 강세를 보였다.
반도체주는 동반 하락했다. 마이크론(MU) -6%대, 인텔(INTC) -5%대, ARM 홀딩스(ARM)·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CHP) -4%대 하락을 기록했다. 또한 AMD, 온세미(ON), 퀄컴(QCOM), 글로벌파운드리(GFS), 램리서치(LRCX)가 -3%대, NXP·마벨(MRVL)·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가 -2%대 하락했다.
가상자산 관련주도 비트코인이 -6% 이상 급락해 4.5개월 최저로 떨어지면서 동반 약세를 보였다. 코인베이스(COIN), 갤럭시 디지털(GLXY), 마라 홀딩스(MARA), 스트래티지(MSTR), 라이엇 플랫폼스(RIOT)가 모두 -6% 이상 하락했다.
개별 종목 뉴스에서는 사렙타 테라퓨틱스(SRPT)가 -33% 이상 폭락했다. 뒤센 근이영양증(DMD) 환자 대상으로 한 Amondys 45와 Vyondys 53 연구가 주요 평가변수 달성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노르웨지안 크루즈 라인(NCLH)은 3분기 매출이 $29.4억으로 컨센서스($30.2억)를 하회하며 -15% 이상 급락, S&P 500과 크루즈 업종 내 낙폭을 주도했다. 카니발(CCL)은 -9%대, 로열 캐리비안(RCL)은 -7%대 하락했다.
조에티스(ZTS)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94.0억~$94.8억으로 하향(종전 $94.5억~$96.0억)하며 컨센서스($95.1억)를 밑돌아 -13%대 급락했다. CDW(CDW)는 3분기 순매출 $57.4억으로 컨센서스($57.6억)에 미달해 -8%대 하락, 마라톤 페트롤리엄(MPC)도 3분기 조정 EPS $3.01이 컨센서스($3.15)에 못 미치며 -6%대 내렸다. 우버(UBER)는 4분기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24.1억~$25.1억으로 제시, 중간값이 컨센서스($24.9억)에 소폭 못 미치며 -4%대 하락했다. 팔란티어(PLTR)는 예상을 웃도는 3분기 매출에도 P/S 85배라는 역대급 밸류 우려로 -7%대 약세였다.
반면 엑스페디터스(EXPD)는 3분기 매출 $28.9억으로 컨센서스($27.5억)를 상회해 +10% 이상 급등, 헨리 스카인(HSIC)도 3분기 순매출 $33.4억으로 컨센서스($32.8억)를 웃돌며 +10%대 상승했다. 새니미나(SANM)는 4분기 순매출 $21.0억으로 컨센서스($20.6억)를 상회해 +16%대 급등했다. 얌! 브랜즈(YUM)는 조정 EPS $1.58로 컨센서스($1.48)를 웃돌아 +7%대 상승, 워터스(WAT)는 조정 EPS $3.40(컨센서스 $3.21) 발표와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 상향($12.95~$13.05 → $13.05~$13.15)으로 +6%대 강세였다.
패브리넷(FN)은 1분기 매출 $9.781억으로 컨센서스($9.336억)를 상회해 +4%대 상승했다. 화이트스톤 리츠(WSR)는 MCB 리얼에스테이트가 $15.20/주 재인수 제안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에 +4%대 올랐다. 글로벌 페이먼츠(GPN)는 3분기 조정 순매출 $24.3억으로 컨센서스($24.2억)를 웃돌아 +4%대 상승, 메리어트 인터내셔널(MAR)은 3분기 조정 EPS $2.47(컨센서스 $2.39)로 +3%대 상승하며 나스닥 100 상승 종목을 이끌었다.
오늘의 실적 일정(현지 11/5/2025): Albemarle(ALB), Allstate(ALL), Amcor(AMCR), Ameren(AEE), APA(APA), AppLovin(APP), ARM(ARM), Atmos Energy(ATO), Bio-Techne(TECH), Bunge Global(BG), Cencora(COR), CF Industries(CF), Charles River Laboratories(CRL), Corpay(CPAY), Devon Energy(DVN), DoorDash(DASH), Emerson Electric(EMR), Fair Isaac(FICO), Fidelity National Information(FIS), Fortinet(FTNT), Host Hotels & Resorts(HST), Humana(HUM), Iron Mountain(IRM), Johnson Controls(JCI), McDonald’s(MCD), McKesson(MCK), MetLife(MET), Paycom(PAYC), PPL(PPL), PTC(PTC), Qualcomm(QCOM), Robinhood(HOOD), Sempra(SRE), STERIS(STE), Targa Resources(TRGP), Texas Pacific Land(TPL), TKO Group(TKO), Trimble(TRMB), Zimmer Biomet(ZBH).
용어 풀이와 맥락
– 주가매출비율(P/S): 시가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매출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가늠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성장 기대가 크거나 과열 가능성이 있다.
– E-미니 선물: S&P 500·나스닥 등 지수를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는 지수 선물로, 장 마감 이후 심리를 읽는 잣대다.
– 매그니피센트 세븐: 미국 증시를 이끄는 초대형 7개 기술주를 일컫는 별칭이다.
– 상호(reciprocal) 관세: 상대국 관세 수준에 맞춰 대응 관세를 부과하는 개념으로, 법적 근거와 대외관계 파장이 핵심 쟁점이다.
– IEEPA: 국가안보 등 비상상황에서 경제 제재 권한을 부여하는 법으로, ‘비상’의 인정 범위가 법적 다툼의 핵심이다.
– 정부 셧다운: 예산 부결 등으로 연방정부 기능이 부분 정지되는 상태를 뜻하며, 통계 지연과 성장 둔화를 유발할 수 있다.
기자 관점·해설: 이날 하락은 밸류에이션 재평가와 성장주 민감도가 결합된 전형적 조정 국면으로 볼 수 있다. 장기금리 하락이 주가에 우호적이었음에도, 팔란티어의 P/S 85배가 상징하듯 일부 성장주의 가격 부담이 과도해지자 차익실현·포지션 축소가 빠르게 확산했다. 더불어 연준의 추가 인하 기대(69%)는 경기 둔화 신호와 정부 셧다운 장기화라는 역설적 배경과 맞물려, ‘나쁜 뉴스=좋은 금리’ 구도가 주가에는 양날의 검이 됐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체력(이번 주 136개사, 80% 어닝 서프라이즈)과 법·정책 변수(대법원 관세 심리, 셧다운, ECB 발언)가 변동성을 주도할 전망이다. 투자자 입장에선 이익 성장의 질과 현금흐름, 밸류에이션 정상화 속도를 교차 점검하며 리스크 관리에 방점을 찍을 필요가 있다.
구독 안내: 20만 명+이 구독하는 ‘Midday Barchart Brief’ 뉴스레터는 매일 정오 핵심 이슈를 요약 제공한다.
바차트 추가 뉴스
– 약한 기술 실적과 밸류에이션 우려에 나스닥 선물 하락, ADP 고용에 시선 집중.
– 은퇴 후 옵션 전략으로 꾸준한 현금흐름 만들기.
– 끈적한 인플레이션과 파월의 금리 인하 경고 국면에서 고려할 한 가지 거래 아이디어.
– 밸류에이션 우려 속 주가지수 선물 급락.
고지: 본 기사 게재 시점 기준,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종목에 대해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 본 기사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바차트의 공시정책을 참조할 수 있다. 본문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