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려에 달러 약세… 미시간대 소비심리 3.5년 최저·감원 175% 급증에 연준 추가 인하 기대 강화

달러지수(DXY)가 금요일(현지시간) 1주 최저치로 밀리며 -0.15% 하락 마감했다. 전일(목) 발표된 챌린저(Challenger) 보고서에서 10월 미국 기업 감원이 전년 대비 175% 급증해 22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여파가 이어지며,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을 강화한 것이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 금요일 장중 저점은 DXY00 기준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예상보다 크게 떨어져 약 3.5년 만의 최저를 기록하자 달러는 저점 부근으로 다시 밀렸다다.

2025년 11월 8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 셧다운이 지속되는 점도 달러의 상단을 누르고 있다. 보도가 지적했듯,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미국 성장 둔화 위험이 커지고, 그만큼 연준의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이 시장 전반에 번지고 있다.

달러지수 DXY 차트 개요

주목

다만 금요일 달러 하락폭은 제한적이었다. 주식시장의 약세가 유동성 선호를 자극해 달러 수요를 일부 지지했고, 필립 제퍼슨(Philip Jefferson) 연준 부의장의 발언도 달러를 받쳤다. 제퍼슨 부의장은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더라도 중립금리에 접근해 가는 만큼 “점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퍼슨 부의장: “현 금리는 여전히 경제에 ‘다소 제약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중립 수준에 다가설수록 어떤 추가 금리 인하천천히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다.”


지표 세부를 보면,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3.3 하락한 50.3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53.0)를 밑돌았다. 인플레이션 기대는 엇갈렸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7%(예상 4.6%)로 예상 밖 상향됐지만,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6%로 예상치(3.8%)보다 낮아졌다. 한편, 9월 미국 소비자신용+1,309억3,000만 달러(예상 +1,023억 달러) 증가해 예상보다 견조했다.

연준 정책 경로에 대한 시장 베팅도 재조정되고 있다. 바차트 보도는 시장이 12월 9~10일 FOMC에서 연방기금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67%로 반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고용·심리 지표 악화와 셧다운 리스크가 결합해 완화적 정책 기대를 키운 결과로 풀이된다.


유로화(EUR/USD)는 금요일 1주 최고치로 반등하며 +0.15% 상승 마감했다. 달러 약세가 유로 상승을 견인했으며, 독일 무역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한 점도 유로에 우호적이었다. 구체적으로, 9월 독일 수출은 전월 대비 +1.4%(예상 +0.5%)로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고, 수입+3.1%(예상 +0.5%)로 8개월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주목

통화정책의 분기(分岐)도 유로를 지지한다는 평가다. 보도는 유럽중앙은행(ECB)이 사실상 금리 인하 사이클을 대부분 마무리한 반면, 연준2026년 말까지 추가 인하를 여러 차례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시장 시각을 전했다. 다만, 12월 18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에 대한 스왑시장의 확률 반영은 4%에 불과하다.

EUR/USD 환율 개요


엔화(USD/JPY)는 금요일 -0.25% 약세(달러 대비)로, 달러/엔 환율은 +0.25% 상승했다. 일본 9월 가계지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하는 데 그쳐 예상치(+2.5%)를 하회한 점이 엔화에 부담을 줬고, 이날 미 국채(T-note) 수익률 상승도 엔 약세를 부추겼다. 보도는 최근 엔화가 정치적 불확실성일본은행(BOJ) 금리 인상 지연 탓에 약세를 보여 왔다고 지적했다. 시장은 12월 19일 BOJ 회의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49%로 가정하고 있다.

USD/JPY 환율 개요


귀금속은 달러 약세와 주식시장 하락에 따른 일부 안전자산 선호 속에 상승했다. 12월 COMEX 금 선물(GCZ2)+18.80달러(+0.47%) 상승 마감했고, 12월 COMEX 은 선물(SIZ2)+0.193달러(+0.40%) 올랐다. 특히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가 가격을 받치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10월 보유 금이 7,409만 트로이온스로 늘었다고 밝혀 12개월 연속 매입을 이어갔다. 이와 함께 월드골드카운슬(WGC)은 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220톤(MT)으로 2분기 대비 28% 증가했다고 전했다.

COMEX 금 선물 차트

COMEX 은 선물 차트

다만, 제퍼슨 부의장의 매파적(긴축 선호) 코멘트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또한 중국 10월 무역지표가 예상을 밑돌며 산업금속 수요 우려를 자극, 은 가격의 상단을 눌렀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10월 수출-1.1% y/y로 예상(+2.9%)과 달리 감소해 8개월 만의 최대 감소를 기록했고, 수입+1.0% y/y로 예상(+2.7%)에 못 미쳤다.

포지셔닝 측면에서는 10월 중순 기록적 고점 이후 이어진 롱 청산(long liquidation)이 귀금속 가격을 짓눌렀다는 평가다. 10월 21일 3년 최고치를 경신했던 금·은 ETF 보유량은 최근 감소세로 돌아섰다.


셧다운·관세·지정학·연준 독립성 등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귀금속에는 기저의 안전자산 수요가 남아 있다는 진단도 제시됐다. 반면, 달러는 위험회피 시 유동성 프리미엄을 얻는 경향이 있어, 주식 약세가 심화될 때는 하락폭이 다시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이 금요일 장중에서 확인됐다.


정보 제공: 하루 중 꼭 읽어야 할 뉴스레터로 꼽히는 바차트 미드데이 브리프200,000명+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용어 설명

DXY(달러지수):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지수화한 것주요 바스켓이다.
캐리오버 압력(carryover pressure): 전일(또는 이전) 뉴스·흐름이 다음 거래일까지 지속되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미국 가계의 현재·향후 경기 인식과 기대를 측정하는 대표적 심리지표다.
중립금리: 경기 과열도 위축도 유발하지 않는 이론상 금리 수준이다.
스왑시장의 확률 반영: 금리파생상품 가격이 내재한 정책금리 경로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의미한다.
T-note 수익률: 미국 중기 국채(주로 10년물) 수익률로 글로벌 금융자산의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COMEX: 뉴욕상품거래소 귀금속 선물 거래 플랫폼이다.
롱 청산(long liquidation): 보유 중인 매수 포지션을 이익·손실과 무관하게 정리해 포지션을 축소하는 행위다.
트로이온스(troy ounce): 귀금속 거래에 쓰이는 중량 단위로 일반 온스와 다르다.1 troy oz ≠ 1 oz


분석 및 시사점

첫째, 고용 감원 급증소비심리 급락이 동시에 나타난 점은 성장 둔화 우려를 키우는 조합이다. 이는 연준의 추가 인하 기대(12월 25bp, 확률 67%)를 밀어올리며 달러 약세로 연결됐다. 다만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1년)가 4.7%로 소폭 상향된 점은 연준의 속도 조절 논리를 강화해, 제퍼슨 발언과 함께 과도한 금리 인하 베팅을 제어하는 역할을 했다.

둘째, 유럽무역 반등정책 사이클 분기가 유로를 지지했다. ECB의 완화 사이클 마무리 인식은 유로의 금리 메리트를 부각시키는 한편, 연준의 추가 인하 가능성은 달러의 상대적 약세 요인이다. 다만, 12월 ECB -25bp 가능성은 4%로 여전히 낮아, 유로 강세 가속에는 추가적인 실물·물가 확인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엔화가계지출 둔화미 국채 수익률 상승의 이중 압력 속에 약세를 이어갔다. BOJ 12월 인상 확률 49%양방향 변동성을 예고한다. 정책 가이던스가 지연될 경우 엔 약세 재개 위험이, 반대의 경우 급격한 되돌림 가능성이 공존한다.

넷째, 귀금속은 달러 약세·중앙은행 매수·리스크 오프로 지지받되, 롱 청산 잔압중국 무역 둔화가 상단을 누른다. PBOC의 12개월 연속 매입과 WGC의 3분기 220톤 매수는 구조적 수요를 시사하나, 단기적으로는 정책 발언 한 줄이 가격 탄력성을 크게 바꾸는 구간이 이어지고 있다.

다섯째, 미국 정부 셧다운 리스크는 성장·정책 경로를 동시에 흔드는 잠재 변수다. 장기화 시 달러 상단 제약금리 인하 기대 상향이 공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달러–귀금속–유럽통화의 상호관계가 예민해질 수 있다. 보도 본문 내 숫자들이 보여주듯, 현재 시장은 데이터 민감도가 극대화된 국면에 놓여 있다.


부록 | 원문 고지·면책

Rich Asplund는 이 기사에 언급된 어느 종목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에 한정된다. 바차트 공시정책(Disclosure Policy)을 참고할 수 있다.

More news from Barchart
– ‘Cockroach’ 파산과 팔란티어 실적 후 급락: 뇌관은 금·은 가격의 하방을 지지하는가? 원문 링크
– 귀금속, 우리는 신중해야 할까? 원문 링크
– 은 가격은 얼마나 더 하락할까? 원문 링크
– 은 100달러? 금-은 비율로 본다면 무엇을 의미하나 원문 링크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에게 속하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