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려에 달러 약세…미시간대 심리·감원 급증이 연준 추가 인하 기대 자극

달러지수(DXY)가 금요일 1주 최저로 하락하며 -0.15% 내리고 마감했다. 전일(목요일) 발표된 챌린저(Challenger)의 10월 미국 감원 규모전년 대비 175% 급증해 22년 만에 최대 폭을 기록한 여파가 이어지며, 연준(Fed)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키운 것이 직접적인 배경이다. 여기에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예상보다 크게 하락해 약 3.5년 만의 저점으로 내려앉자, 달러는 장중 저점을 확대했다.

2025년 11월 9일, 나스닥닷컴에 게재된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달러 약세 압력은 미 연방정부 셧다운(정부 기능 일부 중단)의 장기화 우려에도 맞물려 지속되고 있다. 보도는 셧다운이 길어질수록 성장 둔화 가능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압력 또한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달러지수 DXY 차트
다만 금요일 달러 낙폭은 제한적이었다.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며 유동성 선호(달러 수요)가 살아났고,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의 비교적 매파적인 발언이 달러를 지지했다. 제퍼슨 부의장은 금리가 여전히 경기에는 “다소 제약적(somewhat restrictive)”인 만큼, 중립금리에 다가설수록 추가 인하는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주목

소비·물가·신용 지표

금요일 발표된 미시간대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3.3포인트 하락한 50.3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53.0)보다 약했고 약 3.5년 만의 최저였다.

단기 물가 기대는 상반된 신호를 보였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예상(4.6%)과 달리 4.7%로 소폭 상향됐지만,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3.6%로 완화돼 예상(3.8%)을 하회했다.

9월 미 소비자신용130.93억 달러(+$13.093bn) 증가해, 시장 예상치(+102.30억 달러)를 상회했다. 신용 확장은 소비 여력을 시사하나, 소비자 심리의 급락과 병행되며 가계의 체감 경기 둔화 신호와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


통화정책 기대와 시장 확률

주목

금리선물시장은 다음 FOMC 정례회의(12월 9~10일)에서 연방기금금리 25bp 인하가 단행될 확률을 67%로 반영하고 있다. 제퍼슨 부의장이 “추가 인하에 신중 접근”을 강조했음에도, 고용 둔화 신호(감원 급증)심리 급랭이 누적되며 완화적 전환 기대를 자극하고 있다.


유로·엔·크로스자산 동향

EUR/USD 차트
EUR/USD는 1주 최고로 상승해 +0.15% 마감했다. 이는 달러 약세의 영향이 컸지만, 독일 무역지표의 깜짝 개선도 유로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독일 9월 수출은 전월 대비 +1.4%(예상 +0.5%), 10개월 만의 최대 증가였고, 수입+3.1%(예상 +0.5%)로 8개월 만의 최대 폭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중앙은행 정책의 비대칭도 유로 강세 요인으로 본다. ECB는 사실상 인하 사이클의 막바지에 와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은 반면, 연준은 2026년 말까지 여러 차례 추가 인하가 가능하다는 기대가 남아 있다. 이와 별개로 스와프시장은 12월 18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가 나올 확률을 4% 수준으로 반영 중이다.

USD/JPY 차트
USD/JPY는 +0.25% 상승했다. 엔화는 장중 달러 대비 1주 고점에서 밀려 하락 전환했는데, 일본 9월 가계지출이 전년동기대비y/y +1.8%로 예상(+2.5%)에 못 미친 점과, 미 국채(T-note) 금리 상승이 엔 약세를 부추겼다. 시장은 12월 19일 BOJ 회의에서 금리 인상이 이뤄질 확률을 49%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귀금속: 달러 약세·헤지 수요에 상승

COMEX 금 선물 차트 COMEX 은 선물 차트
12월 COMEX 금(GCZ2)은 +18.80달러(+0.47%), 12월 COMEX 은(SIZ2)은 +0.193달러(+0.40%) 상승 마감했다. 달러지수의 1주 저점이 귀금속에 순풍으로 작용했고, 주식시장 하락헤지·안전자산 선호를 자극했다. 또한 중앙은행의 금 매수가 지속되는 점도 금 가격을 떠받쳤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10월 보유 금7,409만 트로이온스까지 늘려 12개월 연속 비축을 확대했다. 앞서 월드골드카운슬(WGC)3분기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220톤으로, 2분기 대비 28%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상승 폭은 제퍼슨 부의장의 매파적 코멘트로 제한됐다. 아울러 중국 10월 무역지표가 예상을 밑돌며 산업금속 수요 둔화 우려가 불거진 점도 은 가격 상단을 눌렀다. 최근 귀금속은 10월 중순 사상 최고가 경신 이후 롱 청산(long liquidation) 압력이 이어졌고, 10월 21일 3년래 고점을 찍은 뒤 금·은 ETF 보유량최근 감소세로 전환했다.


중국 무역: 성장·수요의 역풍

중국의 10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y/y -1.1%로 예상(+2.9%)과 달리 감소했고, 8개월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10월 수입+1.0%로 증가했으나 예상(+2.7%)에는 못 미쳤다. 이는 글로벌 수요 둔화산업금속을 포함한 원자재 수요 약화 우려를 재점화하며, 은·구리 등 산업 연동형 자산에 상대적 부담으로 작용했다.


정책·정치 리스크와 시장 정서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지속되면서, 관료·정책 리스크가 금융시장 전반에 상존하고 있다. 보도는 셧다운 장기화가 미국 성장률 훼손연준 독립성에 대한 정치적 압박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지정학적 위험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며, 안전자산 성격의 에 대한 구조적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 해설: 지표의 혼조가 말하는 것

해석 1심리 급랭 vs 단기 기대물가 상향: 미시간대 심리지수는 팬데믹 이후 바닥권에 근접했으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오히려 상향됐다. 이는 가계가 경기 둔화 체감에도 불구하고, 근시안적 물가 우려를 일부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5~10년 기대는 하향돼, 장기 기대가 비교적 닻(anchored)에 묶여 있다는 긍정적 신호도 공존한다. 이러한 혼조는 연준이 성장 둔화물가 안정 사이 미세조정을 지속할 것임을 암시한다.

해석 2고용 둔화 신호의 파급: 챌린저 감원 급증은 노동시장 완화의 초기 신호로서, 채용 축소·인력 조정이 확산될 경우 임금상승 압력이 완화될 여지가 있다. 이는 통화완화 기대를 키우지만, 동시에 성장 둔화 리스크를 증폭시켜 달러의 ‘경기 민감’ 강세 요인을 약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달러지수 약세유로 강세가 동반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해석 3중앙은행의 금 수요: PBOC의 12개월 연속 금 매수와 WGC의 3분기 중앙은행 순매입 증가는, 준비자산 다변화 흐름이 견고함을 보여준다. 달러 유동성·금리 경로의 불확실성과 지정학 리스크가 겹치며, 금의 전략적 역할은 중장기적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롱 청산매파적 발언이 시세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용어 풀이

DXY(달러지수): 달러를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달러, 스웨덴크로나, 스위스프랑 등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로 지수화한 지표다. 달러의 광의의 강·약세 판단에 널리 쓰인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미국 가계의 현재·향후 경제 인식구매 의향 등을 조사해 산출한다. 소비는 미국 GDP의 큰 몫을 차지하므로, 동 지표는 경기 선행 신호로 주목된다.

중립금리: 경기 과열도 둔화도 유발하지 않는, 이론적 균형 금리 수준을 뜻한다. 중앙은행은 실제 금리가 중립에 접근할수록 정책 변화 속도를 늦추는 경향이 있다.


기타

Barchart Brief 뉴스레터와 관련해, 보도는 “20만 명 이상 구독” 문구와 함께 정오 브리핑을 일일 필독으로 권했다.

한편, 기사 말미에서 리치 아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사 게시일 기준으로 본문에 언급된 유가증권에 직·간접적 포지션이 없음을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공시 정책을 참조하도록 했다.

관련 기사

• 왜 달러지수는 중립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99038/why-is-the-dollar-index-stuck-in-neutral

• 유로 약세론이 장악…지금 이 한 가지 거래 전략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28662/the-bears-are-in-control-of-the-euro-make-this-1-trade-here-now

• 치솟는 루블이 말해주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거래 전략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663526/what-a-soaring-ruble-says-about-the-russia-ukraine-war-and-how-to-trade-it-now

• 유가 하락기에 지금 당장 고려할 ‘의외의’ 거래 한 가지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612159/as-crude-oil-prices-fall-make-this-1-unexpected-trade-asap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작성자에 속하며,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