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심화로 독일 제조업 일자리 24만5천 개 증발…EY 보고서

독일 제조업, 장기 둔화 국면 진입

BERLIN—독일 제조업 부문의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며 2019년 이후 약 24만5,5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8월 2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Ernst & Young)가 이날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독일 산업 부문은 2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2.1%의 매출 감소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식 통계청 자료를 근거로 한 이번 연구는 2025년 2분기 독일 제조업 매출이 5,330억 유로(미화 약 6,239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2.1%의 하락 폭으로, 1분기의 -0.2% 감소세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주목

일자리 충격: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

고용 부문에서도 전년 대비 -2.1%의 감소가 확인됐다. 전체 제조업 종사자는 543만 명으로, 6년 전과 비교하면 -4.3% 줄어 약 24만5,500개1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EY는 “자동차 제조업이 가장 큰 타격을 받으며 2분기 고용이 전년 대비 -6.7%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절대적으로 5만1,500개의 일자리가 1년 새 소멸된 규모다.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부품사 콘티넨탈 등 주요 완성차·부품사는 아시아 업체와의 경쟁 심화, 전기차(EV) 전환 비용 증가, 그리고 미국의 높은 수입 관세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인력 감축을 단행하고 있다.


수출 부진이 매출 감소로 직결

EY 보고서는 “미국은 여전히 독일 제조업 상품의 가장 중요한 해외시장”이라고 밝혔지만, 2분기 대미(對美) 수출은 -10% 급감했다. 같은 기간 중국 수출도 -14% 줄어들어, 수출 의존도가 높은 독일 제조업에 직접적인 매출 압박으로 작용했다.

주목

한편 환율 기준으로 1달러는 0.8542유로로 집계돼, 유로화 강세가 해외 수요를 추가적으로 억제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용어·배경 설명

EY(Ernst & Young)은 세계 4대 회계·컨설팅 법인 가운데 하나로, 기업 실사·감사·세무·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고서 신뢰도가 높아 금융·산업계가 주시한다.

수입 관세(Import Tariff)는 특정 국가가 해외에서 들여오는 제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이 목적이다. 미국의 고율 관세는 독일 자동차의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려 수출 축소로 이어진다.

전기차 전환 비용은 내연기관에서 전기 구동계로 설계 및 생산 체계를 바꾸는 동안 발생하는 설비투자·R&D·인력 재교육 비용을 말한다.


전문가 시각과 향후 전망

독일 산업계는 에너지 가격 상승, 지정학적 리스크, 녹색 전환 규제와 같은 구조적 변수에도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전문가들은 “자동차·기계·화학 중심의 전통 제조업만으로는 장기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친환경·디지털화로의 과감한 피벗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독일 정부 역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미국의 보조금 정책, 중국의 가격 경쟁력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세액공제 확대노동시장 유연화 등 구조개혁 카드를 검토 중이다.

그러나 연방예산 제약정치적 합의 난항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단기적 반등보다는 장기 조정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EY 보고서는 “제조업 고용 악화는 소비지출 둔화를 동반해 내수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생산·고용·수출이 동반 위축되는 ‘3중 경기 둔화’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 EY, 2025년 8월 26일 발표 자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