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부문이 7월 미국 고용시장에서 가장 견조한 일자리 창출을 기록하며, 경기 둔화 국면에서도 노동시장의 버팀목이 됐다.
2025년 8월 1일, CNBC 뉴스가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전월 대비 7만3,000명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건강·사회복지 서비스(Health care & Social assistance)에서만 7만3,3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겼다. 민간 교육 부문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함께 집계할 경우, 증가 폭은 7만9,000개로 확대된다.
BLS가 발표한 전체 비농업 고용자수(Nonfarm Payrolls) 증가분 7만3,000명과 비교하면, 헬스케어 부문이 사실상 전(全) 일자리 증가분을 책임졌다는 계산이 나온다. 다른 부문에서의 고용 감소분을 제외하면, 헬스케어를 빼고는 오히려 순감소로 전환됐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Mark Hamrick 뱅크레이트(Bankrate)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건강·사회복지 서비스가 민간 고용 증가를 독차지하는 모습이며, 연방 및 지방정부 부문은 오히려 일자리를 줄이고 있다”면서 “지금의 고용시장은 ‘채용도 해고도 쉽지 않은, 얼어붙은(no-hire, no-fire) 시장’이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과거치 대폭 하향 조정도 눈길을 끌었다. 6월 고용 증가는 기존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5월은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각각 수정됐다. 즉, 최근 수개월 동안의 고용 둔화가 은밀하게 진행돼 왔음을 시사한다.
헬스케어 세부 항목별로 보면 외래진료(ambulatory health-care services)가 3만4,000명, 병원이 1만6,000명 늘었다. 개인·가족 서비스(individual & family services)를 포함한 사회복지 부문도 2만1,000개의 일자리가 새로 창출됐다.
헬스케어·사회복지 부문의 순증(7만3,300명)은 두 번째로 많은 소매유통(retail trade) 부문 증가 폭 1만5,700명을 5만7,600명 차이로 압도했다. 금융활동(financial activities) 역시 1만5,000명을 더하며 선전했으나, 비중은 제한적이었다.
반면 13개 주요 산업 중 7개는 고용이 줄었다. 전문·사업 서비스(professional & business services)가 1만4,000명 감소하며 낙폭이 가장 컸고, 정부 부문도 1만 명을 줄였다. 제조업은 1만1,000명, 도매유통(wholesale trade)은 7,800명을 삭감했다.
비농업 고용이란 무엇인가?
‘비농업 부문 고용자수’는 농업·가정부·비영리 조직 등을 제외한 임금근로자 수를 뜻하며, BLS가 매달 발표하는 핵심 경기지표다. 연준(Federal Reserve)이 통화정책을 조정할 때 주목하는 대표적인 노동지표이기 때문에, 시장 참여자들은 단 한 자리의 변동도 예민하게 받아들인다.
또한 하향 수정(downward revision)은 조사 샘플이 확정되면서 초기 발표치보다 실제 고용이 적었다는 의미다. 이번처럼 수개월치가 크게 낮아질 경우, 시장은 경기 사이클의 전환 신호로 해석한다.
전망과 해석
연준은 9월 중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추가로 한 차례의 고용지표를 더 확인하게 된다. Hamrick 이코노미스트는 “향후 한 달간 발표될 각종 지표와 기업들의 체감 보고서(anecdotal evidence)에 현미경을 대고, 경기 둔화 시나리오가 구조적인지를 가늠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가 분석하기에, 헬스케어 부문의 견조한 고용은 인구 고령화·만성질환 관리 수요 확대라는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다. 반면 제조업과 전문 서비스 등 경기 민감 업종이 이미 고용을 줄이기 시작했다는 점은, 연착륙(soft landing) 시나리오가 흔들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정부 부문의 고용 감소는 팬데믹 이후 지방정부 재정이 정상화되는 과정으로 볼 수도 있지만, 소비 둔화가 재정수입에 반영된 결과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향후 보고서에서 헬스케어 외 업종의 반등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 카드에 무게를 실을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받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