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선물 시장 동향
국제 코코아 선물 가격이 1주 만의 최저치로 떨어졌다. 12월물 ICE 뉴욕 코코아(CCZ24)는 전일 대비 -4.43%(-321달러) 하락했고, 12월물 ICE 런던 코코아(CAZ24)도 -3.10%(-176파운드) 내려갔다.
2025년 9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달러화 강세가 원자재 전반의 약세를 이끌며 코코아 가격을 짓눌렀다. 이날 달러 인덱스(DXY)는 4개월 만의 최고치로 치솟아 모든 상품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달러 강세 외에도 코트디부아르의 수확 가속화가 가격 약세를 부추겼다. 코트디부아르 정부 자료에 의하면 10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농가가 항구로 출하한 코코아는 365,072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 288,686톤보다 26% 증가했다.
주요 생산국 공급 변수
코트디부아르 규제기관 르 콩세유 카페–카카오(CCC)는 10월 18일 2024/25 시즌 생산 전망을 기존 200만 톤에서 210~220만 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 같은 증산 전망은 시장에 매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가나 코코아위원회(Cocobod)는 8월 20일 2024/25 시즌 생산량을 70만 톤에서 65만 톤으로 하향 조정했다. 가나의 2023/24년 수확량은 악천후와 병해로 23년 만의 최저치인 42만5천 톤에 그친 바 있다.
가나와 코트디부아르는 전 세계 코코아 공급량의 약 60%를 차지하며, 두 나라의 작황 변화가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카메룬(세계 5위)과 나이지리아(6위)의 증산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카메룬의 2023/24 시즌 생산량은 전년 대비 1.2% 늘어난 266,725톤으로 집계됐고, 나이지리아의 8월 코코아 수출은 6.8% 증가한 14,984톤을 기록했다.
수요·재고 상황
수요 측면에선 혼조세가 나타났다. 10월 17일 미국 전미제과협회(NCA)는 북미 3분기 코코아 그라인딩(분쇄) 물량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109,264톤이라고 발표했다. 같은 날 아시아 코코아협회도 3분기 아시아 분쇄량이 2.6% 늘어난 216,998톤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유럽 코코아협회는 3분기 유럽 분쇄량이 3.3% 감소한 354,335톤이라고 전했다.
재고 측면에선 공급 부족 징후가 뚜렷하다. 미국 항구에 보관된 ICE 감시 코코아 재고는 17개월 연속 감소해 화요일 기준 1,737,858포대로 19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8월 30일 2023/24 시즌 세계 코코아 공급 부족 규모를 462,000톤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이는 60여 년 만에 최대치다. 같은 보고서에서 ICCO는 2023/24 생산 전망을 4,461,000톤에서 4,330,000톤으로 하향하고, 재고/분쇄 비율이 27.4%로 46년 만의 최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시장 용어 해설
코코아 그라인딩은 원두 형태의 코코아를 분쇄해 초콜릿 원재료를 만드는 공정을 뜻한다. 이는 실질적인 수요를 반영하는 지표로, 증가하면 초콜릿·제과 산업의 활황을 의미한다.
달러 인덱스(DXY)는 유로, 엔, 파운드 등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수다. 달러 강세는 달러로 거래되는 원자재 가격을 상대적으로 비싸게 만들어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글로벌 선물 거래소로, 뉴욕과 런던의 코코아·커피·설탕 등 소프트 상품 선물을 상장·거래한다.
전망과 전문가 의견
전문가들은 달러 강세 지속과 일부 생산국의 공급 확대가 단기적으로 하락 압력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재고 부족이 심화돼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시장 참여자들은 곧 발표될 4분기 코코아 분쇄 통계와 서아프리카의 기상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엘니뇨 현상이 장기화할 경우 병해·가뭄 위험으로 작황에 타격이 발생해 추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기사 작성자 리치 애스플런드는 해당 상품에 이해관계가 없다고 밝혔으며,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임을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