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원 빅 뷰티풀’ 법안이 촉발할 10년 대장정 – 달러 패권·국채 금리·글로벌 자산배분의 지각 변동

■ 머리말 – 왜 지금 ‘조세·지출 초격차 법안’을 논해야 하는가

2025년 7월 4일 새벽(현지 시각) 미 하원은 ‘One Big Beautiful Bill Act’(이하 OBB 법)이라는 거대한 재정 패키지를 통과시켰다. 감세·복지 삭감·인프라 확충이 한데 섞인 이 법안은 상원을 이미 통과했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 남겨 둔 상태다. 의회예산국(CBO)이 계산한 순재정 효과향후 10년간 –3조4,000억 달러; 즉 세수 결손과 지출 감액을 상쇄하고도 3조 달러 이상 추가 부채가 늘어난다는 의미다.

대공황 이후 단일 법안으로는 최대 규모의 재정변수가 가시권에 들어온 만큼, 필자는 채권·달러·주식·실물자산을 망라한 장기 충격을 ①국가 재정·부채 ②금리·유동성 ③달러 패권 ④산업·세제 ⑤글로벌 자산배분 다섯 축에서 정밀 해부하고, 국내외 투자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재정 흑맥(黑脈)의 생성 – 美 국가부채 50조 달러, 가능성인가 현실인가

1-1) 부채 궤적 시뮬레이션

구분 2024 회계연도 2034 회계연도(기존) 2034 회계연도(OBB 반영)
연방 부채(총계) $34.2T $45.6T $50.1T
GDP 대비 부채비율 122% 130% 145%
연간 순이자비용 $870B $1.47T $1.78T

※ 자료: CBO ‘2025 long-term baseline’, 이중석 계산(연평균 명목 GDP 4%·10년물 평균 4.25% 가정)

가장 먼저 주목할 숫자는 순이자비용이다. 2034년 1조7,800억 달러는 국방·사회보장·메디케어를 제외한 모든 부처 예산 합계를 추월한다. ‘이자 갚기 위해 국채 발행 → 더 큰 이자 비용’이라는 부채 스노볼 효과가 구조화되는 순간이다.

1-2) 신용등급·CDS 프라이싱
무디스(Moody’s)는 이미 ‘AA+’로 한 단계 내린 상태다. 동사가 사전 시뮬레이션한 GDP 대비 145% 부채비율2026~2027년 추가 강등 라인과 정확히 일치한다. 신용디폴트스왑(CDS) 5년물 프리미엄은 4월 최저치 22bp→6월 38bp→7월 초 44bp로 뛰었다. 시장은 “트리플A 신화의 종언”을 가격에 선반영하기 시작했다.


2. 금리·유동성 – ‘너무 큰 국채’와 연준의 이중 과제

2-1) 공급 충격 vs. 완화적 스탠스
2024년말 이후 연준은 QT 페이스(월 950억→600억 달러) 완화, 2026년엔 사실상 균형시트 길이로 재정착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러나 OBB 법에 따른 추가 국채 순발행 3.4조 달러수요-공급 미스매치를 일으킨다. 10년물 균형금리가 4.5% 선을 상회하면, 연준은 ‘성장 방어’와 ‘시장소화 비용’ 사이에서 스탠스를 재조정할 수밖에 없다.

2-2) 가산금리 스프레드 전망
• 10y-2y 스프레드: 2025년 Q4 기준 –35bp → 2026년 Q2 +40bp
• 30y TIPS 실질금리: 2.05% → 2.40%로 상승 압력
채권 포트폴리오에서는 듀레이션 중립·크레딧 고평가 구간 축소가 정석이 될 공산이 크다.


3. 달러 패권 – ‘안전통화→쏠림통화’로의 패러다임 변환

3-1) 트리핀 딜레마 2.0
미국은 글로벌 결제·외환보유 인프라를 공급하는 대가로 지속적 경상수지 적자를 감당해 왔다. OBB 법은 재정적자 확대를 통해 동일 메커니즘을 몰이할 수 있으나, 이를 소화해 줄 유동성 수용국 (일본·중국·OPEC)이 반(反)달러 블록으로 재편 중이다.

3-2) DXY·미러시아(米露) 스프레드
달러인덱스는 6월 96.3 → 7월 95.8(2년래 최저), 러시아·중국 역내 은행들이 위안화 결제 시스템(CIPS)을 4년 새 4배 확대했다. 미국이 초장부터 ‘부채 고속성장-달러 약세-수입물가 상승’이라는 쌍둥이 적자→수입인플레 악순환에 노출될 리스크가 높아졌다.


4. 산업·세제 구조조정 – 친환경→전통에너지·방위 산업 재평가

4-1)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세액공제 소멸
• EV 크레딧 종료(‘25.9.30)… 테슬라, GM, 포드 등 북미 OEM 마진 직격
• 주택 태양광 30% 크레딧 조기 일몰… 실적 가시화 단계의 엔페이즈·선런 리스크 대두
• 반면, 섹션45Q 탄소포집·재생에너지 PTC(생산세액공제)는 유지돼 유틸리티 하이브리드 전략이 부각

4-2) 메디케이드·SNAP 구조조정
의료·소매 섹터에 상반된 영향을 미친다. 메디케이드 디스인롤(dis-enroll) 780만 명 추정치는 병원·제약 매출 타격, 반면 저소득층 소비 감소로 대형 리테일 매출이 압력 받을 수 있다.


5. 자산배분 전략 – ‘중위험·멀티애셋·인컴’ 3대 축

  • 채권: 듀레이션 3~5년, BBB 트랜치·중위험 CLO ETF(JAAA 등) 비중 확대
  • 주식: 동일가중·배당가중 ETF(RSP, BKGI)로 메가캡 쏠림 해소, 유틸리티·에너지 인프라(PPA·XLE) 편입
  • 원자재/실물: 금·구리·우라늄 3각 포트폴리오, 달러 약세 헤지와 탈탄소 투자 수혜 동시 노림
  • 해외주식: 달러 약세 구간의 유럽 고배당(IEUR HDY), 인도 소비재(NIFTY Next 50), 한국 2차전지 ETF(KS200 배터리) 관심
  • 옵션 전략: VIX 13~14 구간에서 6개월물 Protect Put, 유동성 우려 구간에 콜 매도 통한 커버드콜 인컴 병행

6. 결론 – ‘미 재정 스노볼’ 시대, 투자자는 세 가지 질문을 던져라

  1. 부채·달러·금리 삼각축의 절대변수에 대해 내 포트폴리오는 어떤 민감도를 가지는가?
  2. 정부 주도 산업 순환(방위·에너지→헬스케어 재편) 속에서 3년 실적 가시성이 담보된 섹터는 어디인가?
  3. 지속가능한 인컴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기 위해 멀티애셋·국가 분산이 충분한가?

투자를 ‘가격’이 아닌 ‘구조’로 사고하는 순간, OBB 법이 던진 경고음은 분명한 기회 신호로 다가올 것이다. 필자 이중석은 향후 12~18개월간 중위험·다각화·현금흐름 중심 포트폴리오가 달러 약세·금리 상승·경기 국지 경기침체 리스크를 동시에 흡수하는 최적 해법이 될 것이라 판단한다.

© 2025 이중석.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