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옥수수 선물, 국제 유가 하락·트럼프 관세 발언 여파 속 약세 지속

[시카고 선물시장 리포트] 미국 옥수수 선물가격이 29일(현지시간) 정오 무렵 전반적으로 3~6센트의 낙폭을 기록하며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이 배럴당 1.75달러 떨어진 것이 추가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2025년 7월 3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현물 지수 플랫폼인 CmdtyView가 집계한 미국 전국 평균 현물 옥수수(Cash Corn) 가격은 전일 대비 9센트 하락한 4.5034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투자자들의 순매수(롱) 포지션 축소 움직임과 맞물려 추가 하락 가능성을 시사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산 농산물에 대해 “3월 4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차 밝히며, “이번에는 협상 카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협상용 위협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었으나, 상당수 헤지펀드와 상업 트레이더들이 위험을 축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브라질 2기작(사프리냐‧Safrinha) 진도 지연

브라질 농업공급회사(CONAB)*는 27일 기준 브라질 2기작 옥수수 파종률이 53.6%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59%보다 5.4%p 낮은 수준이다. 사프리냐 작황이 지연되면 글로벌 공급 차질 우려가 커질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미국산 선물가격에 즉각적인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주석 : CONAB(Companhia Nacional de Abastecimento)는 브라질 농림축산공급공사로, 정부 공식 작황 통계를 산출·발표한다.


■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 가격 현황29일 정오 기준

• 2025년 3월물(Mar 25) : 4.7714달러, 전일 대비 514센트 하락

• 2025년 5월물(May 25) : 4.9114달러, 534센트 하락

• 2025년 12월물(Dec 25) : 4.6714달러, 312센트 하락

• 현물가(근월) : 4.4412달러, 514센트 하락

• 신곡(새 작황) 현물가 : 4.3534달러, 4센트 하락


■ 시장 참여자 포지션 해석

시카고 옵션·선물 브로커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언급이 단순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을 염두에 둔 듯, 롱(매수) 청산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 선물 중개사는 “유가는 약세지만 달러 인덱스가 강세를 보이지 않는 만큼, 가격 조정 이후 저가 매수가 재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대형 기관투자자들은 옥수수뿐 아니라 커피·면화·밀 등 다른 농산물에도 차익실현 매물을 내고 있다. Barchart가 이날 발간한 “Commodity Bulletin“은 “매크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구간에서, 차익실현을 위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이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 전문용어 간단 해설

롱 포지션은 특정 자산 가격 상승에 베팅하는 투자 전략이다. 가격이 상승하면 수익을 얻지만, 하락하면 손실을 본다. 반대로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전략은 쇼트 포지션이라 한다.

현물(Cash) 가격은 실물 인도 조건으로 즉시 거래되는 가격을 말한다. 선물(Futures) 가격과 달리 보관비·금리 등이 포함되지 않는다.


■ 전문가 진단 및 전망

시카고 소재 애그리비즈 리서치업체인 어그리인사이트의 크리스 던컨 수석 애널리스트는 “브라질 파종 지연이 실제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지 여부는 4월 중순 우기 상황에 달려 있다”며 “미국 옥수수 선물이 4달러대 중후반에서 기술적 지지선을 확인하는 구간”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만약 트럼프 전 대통령이 3월 4일 관세 부과를 실제로 실행하면,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의거한 보복관세 조치가 동반될 수 있다”면서 “옥수수 수출 비중이 높은 미국 내 농가의 실질 소득이 압박받고, 글로벌 곡물 교역 흐름도 재편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 투자자 유의 사항

Commodities

이 기사 작성 시점 현재, 필자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본문에서 언급된 어떤 상품에도 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 또는 자문이 아니다. 투자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


■ 관련 기사(링크)

2025 작황 연도의 밀 가격 방향은?

회사채-미 국채 스프레드 축소가 농산물 시장에 긍정적인 이유

대형 트레이더, 면화 시장 대규모 공매도… 변동성 확대되나


■ 편집자 코멘트

최근 국제 원자재 시장은 유가 하락, 달러 가치 변동, 지정학적 긴장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옥수수처럼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풍부한 품목은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숏·롱 양방향 트레이딩이 활발하다. 개인 투자자는 생산지도·기후·정책 환경 등 펀더멘털 요인과 선물·옵션 시장의 기술적 지표를 병행해 살피는 전략이 요구된다.

© 2025 Barchar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