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 결정 기조에 또 한 번 변곡점이 예고됐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San Francisco) 총재 메리 데일리(Mary Daly)는 노동시장 냉각과 관세(tariff) 효과가 일시적이라는 판단을 근거로, “향후 수개월 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다”고 공개 발언했다.
2025년 8월 6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데일리 총재는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열린 ‘Anchorage Economic Summit’ 기조연설에서 “관세를 제외하면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하락세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 둔화와 현 수준의 제한적 통화정책(restrictive monetary policy)이 유지된다면 물가 상승률은 계속해서 완화될 것”이라며, 최근 거론되는 대(對)중국·멕시코 추가 관세가 단기적 충격에 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인플레이션이 관세를 배제하면 꾸준히 내려오고 있다. 경기가 둔화하고 통화 긴축이 지속되는 한 물가는 더 떨어질 것이다.” – 메리 데일리 총재
그는 특히 “노동시장이 이미 부드러워졌다”고 표현하며, 고용 둔화를 통한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설명했다. 데일리 총재는 “노동시장이 한 번 비틀거리기 시작하면 빠르고 가파르게 후퇴하는 특성이 있다”면서 “추가적인 둔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이 모든 상황을 종합하면 향후 수개월 내 통화정책을 조정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못 박았다.
■ 관세(tariff)란 무엇인가1정책용어 해설
관세는 정부가 해외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관세 인상 → 수입물가 상승 → 소비자물가(CPI) 상승이라는 전가(轉嫁) 메커니즘이 작동할 수 있어,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키우는 요인이 된다. 다만 데일리 총재는 ‘단기효과’에 무게를 두며, 연준의 중·장기 물가경로를 크게 훼손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 노동시장 둔화의 신호
로이터는 미국 고용지표가 최근 ▲비농업 고용 증가폭 축소 ▲실업수당 청구건수 반등 ▲임금 상승률 둔화 등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2 연준이 가장 주목하는 ‘완전고용’ 지표가 식어가면서, 데일리 총재를 포함한 일부 위원들은 ‘선(先)행적’ 금리 인하로 경기 경착륙을 예방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 현행 기준금리 수준
연준은 1주일 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역대 가장 공격적인 ‘긴축 사이클’을 통해 총 5.25%p를 인상한 뒤, 작년 하반기부터 동결 기조를 유지해 왔다. 이에 따라 실질금리(명목금리-물가상승률)는 플러스로 전환됐고, 기업·가계의 차입 부담이 급증했다.
“All this means that we will likely need to adjust policy in the coming months.” – Mary Daly
전문가 해석 및 시장 함의
데일리 총재는 ‘중도(moderate)·매파(hawkish) 균형’ 노선을 걸어온 인사로 분류된다. 그가 공개적으로 ‘수개월 내 금리 인하’를 언급한 것은 연준 내부 기류가 ‘higher for longer’에서 ‘soft landing & early cut’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① 채권시장은 이미 10년물 미 국채금리를 연초 대비 60bp가량 끌어내리며 정책 전환 기대를 선반영하고 있다. ② 주식시장에서도 성장주·기술주 주가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③ 달러화는 연준의 완화 신호와 함께 약보합세를 보이는 등 자산배분 흐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 투자 체크포인트
금리 인하가 실제로 단행되더라도, 데일리 총재가 언급했듯 관세발 물가 쇼크가 남아 있는 한 연준은 ‘점진적 완화’를 택할 가능성이 높다. 시장 참여자는 1) 핵심 PCE 물가 추이, 2) 고용보고서, 3) 관세 정책의 범위·시기를 주시해야 한다.
※ 용어 참고
• 제한적 통화정책: 실질금리가 잠재성장률을 웃돌아 총수요를 의도적으로 억제하는 통화 기조.
• 연방기금금리(FFR): 미국 은행 간 초단기(하루) 자금거래에 적용되는 금리로, 미국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기사 작성·정리 : AI 번역·편집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