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델리·뭄바이 = 로이터 – 인도 의류 및 보석·귀금속 업계가 미국의 전격적인 25% 관세 부과 방침에 직면해 최대 수출 시장에서의 주문 감소와 인력 감축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2025년 7월 31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산 제품에 대해 8월 1일(현지시간)부터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인도 수출업체들은 “충격과 공포” 분위기 속에 비상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번 관세는 미국이 인도와 체결하려던 양자 통상 협정(bilateral trade deal)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발표됐다. 원래 인도 업계는 협정 체결 시 10~15% 수준의 비교적 낮은 관세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생산 증설 계획을 세워 왔다. 그러나 25%라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베트남*1·방글라데시 등 이미 비교적 낮은 관세(20% 이하)를 적용받는 경쟁국으로 발주가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는 청천벽력과 같았다. 25% 관세가 실제 시행되면 수출 채산성이 급락할 것” – 가우탐 나이르(Gautam Nair) / 매트릭스 디자인&인더스트리스(고칼다스 익스포츠 자회사) 이사
주요 수출업체·미국 바이어 현황
인도 대표 의류 수출기업인 웰스펀 리빙, 고칼다스 익스포츠, 인도 카운트, 트라이던트 등은 전체 매출의 40~70%를 미국 시장에 의존한다. 이들 회사는 월마트(Walmart), 코스트코(Costco), 갭(GAP), JCPenney 등 미국 리테일 체인에 납품해 왔다.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 바이어가 가격 인상분을 전가받지 못하면 발주 자체를 중단하거나 베트남 쪽으로 돌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티루푸르의 한숨’ – 지역 경제 직격탄
남부 티루푸르(Tirupur)는 ‘인도의 니트 수도’로 불릴 만큼 의류 수출 공장이 밀집해 있다. 현지 업계는 양자 협정 체결이 성사돼 불확실성이 조기에 해소되길 바라고 있지만, “협상이 길어지면 공장끼리 서로 거래처를 빼앗기 위한 출혈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티루푸르 소재 코튼 블러섬 인디아(Cotton Blossom India)의 나빈 마이클 존 전무는 “미국 발주가 꺾이면 노동자 감원과 임시 가동 중단이 속출할 것”이라며 “공장들은 생존을 위해 서로의 고객을 빼앗는 치열한 경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보석·귀금속 산업도 ‘관세 쓰나미’
미국은 인도산 보석·귀금속(연간 285억 달러 수출)의 약 3분의 1을 소비하는 최대 시장이다. 이미 미국·중국 소비 둔화로 2024/25 회계연도 다이아몬드(컷·폴리시드) 수출액이 20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상황에서, 25% 일괄 관세는 치명타가 될 전망이다.
“관세 인상은 비용 폭등·선적 지연·가격 왜곡을 초래해 가치사슬 전반—소규모 세공공부터 대형 제조업체까지—에 막대한 압박을 가할 것이다.” – 키릿 반살리 / 인도 보석·보석류 수출진흥위원회(GJEPC) 의장
구체적으로는 크리스마스 시즌(9~12월) 물량을 준비해야 하는 9월 전까지 관세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기업들은 생산 감축·작업 인력 해고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호소한다. 수라트(Surat) 다이아몬드 가공업계 관계자는 “협상 없이 관세가 유지되면 뼈를 깎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전문가 시각 – ‘무역전쟁 리스크 재부상’
필자는 이번 사안을 ‘2020년 미·중 무역갈등의 축소판’으로 본다. 글로벌 공급망 최적화가 가속되는 상황에서, 관세 장벽은 국가 간 발주 재배치를 한층 촉발한다. 인도 정부가 관세 인상에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향후 신흥국발 무역전쟁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인도는 캄보디아·라오스·스리랑카 등 후발 경쟁국보다 임금과 전력 비용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약화돼 있다. 따라서 25% 관세가 고스란히 최종 소비자가격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미국 내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씨를 지필 수 있다.
용어 해설
관세(Tariff)란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 또는 무역교섭 수단으로 활용된다.
양자 통상 협정(Bilateral Trade Deal)은 두 국가 간 관세·비관세 장벽을 상호 인하·폐지하는 협정이다. 체결 시 수출입 절차 간소화, 관세 혜택이 발생해 기업의 가격경쟁력 제고에 직결된다.
전망과 과제
인도 상공부는 “미국과의 실무 협상을 통해 상호 윈윈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11월 미국 대선이 임박해 있어 트럼프 행정부가 강경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업계는 ‘9월 이전 관세 타결’이 계절성 주문 확보의 데드라인이라고 입을 모은다.
결국 인도 의류·보석 업계는 생산 다변화·자동화 투자와 더불어, 유럽·중동 등 대체 시장 개척에 속도를 내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는 환율·세제 지원책, 물류 인프라 개선, 기술인력 재교육 등 전방위 지원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