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수 동향]
뉴욕증시가 28일(현지 시각) 혼조세로 마감했으나 S&P 500지수와 나스닥100지수는 종가 기준 또 한 번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S&P500 현물지수는 전장 대비 0.02% 상승한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14% 하락했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100은 0.36% 상승했다.
선물시장에서는 9월물이 혼조세였다. 9월물 E-mini S&P500 선물은 0.02% 하락했고, 9월물 E-mini 나스닥100 선물은 0.35% 상승했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랠리는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무역협상 타결이 직접적인 촉매제로 작용했다. 양측은 전날(28일) 관세 절충안에 합의해 EU 수출품 대부분에 부과될 관세가 15%로 낮아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최대 50% 관세보다 크게 완화된 수준이다.
[미‧중 관세 휴전 연장 기대]
추가적으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 재무장관 베선트와 중국 부총리 허리펑이 8월 12일 스톡홀름에서 만나 90일간의 관세 휴전을 재연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 역시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그러나 장 후반에는 미국 5년물 국채 700억 달러 입찰 부진이 확인되면서 금리 급등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 일부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돼 지수는 고점에서 밀렸다. 미 재무부가 3분기 차입 예상치를 종전 5,540억 달러에서 1조100억 달러로 상향 조정한 사실도 금리 상승을 부추겼다.
[경제지표]
같은 날 발표된 7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3.6포인트 급반등한 0.9를 기록해 6개월 만의 최고치를 찍었다. 시장 예상치 –9.0을 큰 폭으로 상회, 경기 낙관론에 힘을 실었다.
[주간 이벤트 캘린더]
시장의 초점은 이번 주 내내 무역협상 소식과 주요 경제지표, 그리고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결과에 맞춰져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8월 1일 관세 통보 시한 전에 추가 합의가 도출될지가 최대 변수다.
• 30일(화) : 6월 JOLTS 구인건수(전월 대비 –21만9000건 예상), 7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3.0p 상승한 96.0 예상)
• 30~31일(화‧수) : 2일간의 FOMC 정례회의
• 31일(수) : 7월 ADP 민간고용(+8만 명 예상), 2분기 GDP 연율 +2.4%·근원 PCE +2.3% 전망
• 1일(목) :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 22만3000건 예상, 2분기 고용비용지수 +0.8% 예상, 6월 개인소득 +0.3%·개인소비 +0.4% 전망, 6월 근원 PCE +0.3% m/m·+2.7% y/y 예상, 7월 시카고 PMI 42.0 예상
• 2일(금) : 7월 비농업고용 +10만9000명, 실업률 4.2%, 시간당 임금 +0.3% m/m·+3.8% y/y, 7월 ISM 제조업 49.5, 미시간대 소비심리 61.8 예상
[통화정책 기대]
연방기금선물 가격은 이번 FOMC에서 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을 3%로, 9월 회의에서는 63%로 반영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9월 회의에서 금리 동결 가능성을 83%로, 0.25%p 인하 가능성을 17%로 가격에 반영 중이다.
[실적 시즌, ‘매그니피슨트 7’ 주목]
이번 주는 S&P500 편입 기업의 38%가 실적을 발표하는 피크 주간이다. 특히 ‘매그니피슨트 세븐’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메타플랫폼스(31일), 애플·아마존(1일) 등이 줄줄이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500 이익은 현재까지 전년 동기 대비 4.5%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시즌 시작 전 전망치(+2.8%)를 상회한다.
[해외 증시 및 금리]
유럽 Stoxx50은 이틀 만의 고점에서 0.27% 하락했으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2% 상승, 일본 니케이는 1.10% 약세로 마감했다.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1.6bp 오른 4.404%를 기록했다. 독일 10년물은 2.9bp 내린 2.689%, 영국 10년물은 1.2bp 오른 4.647%였다. 카지미르 ECB 이사는 “경기 심각한 급랭이 확인되지 않는 이상 9월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주요 업종별 흐름]
반도체주는 미-EU 합의에 따른 관세 완화 기대 속에 강세를 탔다. AMD가 4% 이상 급등해 나스닥100 상승 폭을 주도했고, On세미, ASML,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이 2~3%대 상승했다. 에너지주 역시 WTI 유가가 1주일 만에 2% 넘게 반등하며 긍정적 흐름을 보였다.
LNG 관련주로 분류되는 벤처글로벌은 4% 상승했으며, 셰니어에너지와 EOG리소시스도 1% 이상 올랐다. 반면 금·구리 가격이 2주 반 만의 저점으로 밀리면서 뉴몬트와 프리포트맥모란 등 광산주가 약세를 면치 못했다.
개별 종목 하이라이트
AI 서버 수요 기대가 이어진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는 10% 폭등, S&P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나이키는 JP모간이 ‘비중확대(Overweight)’로 상향 조정하며 3% 올랐고, 웨더퍼드 역시 파이퍼 샌들러의 투자의견 상향으로 3% 넘게 뛰었다.
반면, 레비티는 연간 EPS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며 8% 밀렸고, 센틴은 칸토 피츠제럴드의 ‘중립’ 하향에 5% 약세를 기록했다. 코인베이스, 길리어드, 악센추어, 시스코 등도 잇따른 투자의견 하향 조정 여파로 1~3%대 조정을 받았다.
“우호적인 무역환경과 양호한 기업실적이 결합돼 위험자산 선호가 유지되고 있으나, 국채 발행 확대와 금리 상승이라는 상쇄 요인이 존재해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월가 한 애널리스트의 평가가 시장 분위기를 대변한다.
[기자 해설]
이번 합의는 EU가 미국산 에너지‧농산물 구매를 확대하는 조건으로 관세율을 15% 수준에 묶는 ‘스몰딜’ 형태다. 일각에선 8월 1일로 예고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편지’ 이전에 체면치레용 성과를 노린 정치적 합의라는 해석도 나온다. 다만, 공화당 행정부 특유의 관세 레버리지를 고려할 때 향후 협상 과정에서 변동성이 재차 부각될 여지는 상존한다.
또한 5년물 국채 입찰 부진이 보여주듯 재무부의 대규모 차입 확대는 장기금리 상단을 끌어올릴 수 있다. 주식시장 랠리가 금리 상승 압력을 상쇄할지, 혹은 금리 급등이 밸류에이션 부담을 가중할지가 하반기 증시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용어 풀이]
E-mini 선물 : CME(시카고상품거래소)가 상장한 소형 주가지수 선물로, 거래 단위가 표준 계약의 5분의 1 수준이어서 개인투자자 접근성이 높다.
근원 PCE :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가격지수에서 변동성이 큰 음식료‧에너지를 제외한 지표로,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다.
매그니피슨트 7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메타플랫폼스, 엔비디아, 테슬라 등 미국 빅테크 7개 사를 지칭한다.
※본 기사는 원문(바차트, 2025.07.29)을 번역‧가공한 것으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