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다시 돌아온 ‘대국 간 무역 휴전’의 역사적 의미
2025년 10월 말, 쿠알라룸푸르에서 마무리된 미국·중국 간 실무 협의는 추가 관세 철회·희토류 수출 규제 유예·미국산 농산물 대량 구매를 묶은 이른바 ‘프레임워크 합의’를 도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이 남아 있으나, 큰 줄기는 이미 결정됐다. 본 칼럼은 이번 합의가 앞으로 최소 1년, 길게는 5년 이상 미국 주식시장과 거시경제에 미칠 구조적 영향을 종합 분석한다.
2. 합의 핵심 ― 세 줄기로 정리되는 정책 변화
- 관세 아웃라인
• 2018~2024년에 누적된 평균 19% 추가관세 가운데 약 60%를 3단계에 걸쳐 철회.
• 전기전자·완구·가구 등 소비재 관세가 2026년까지 ‘0~5%’대로 복귀.
• 반면 AI·첨단반도체·국방이중용도(dual-use) 품목은 현행 25%를 유지. - 희토류 수출 라이선스 유예
• 중국 상무부가 2025년 12월 시행 예정이던 희토류 자석 수출쿼터제를 24개월 연기.
• 미국은 희토류 가공·재활용에 대한 투자세액공제(ITC) 30%를 동결(추가 확대 보류). - 농산물·에너지 오더
• 중국은 2026 회계연도까지 연 6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대두·옥수수·LNG 장기 구매 계약에 서명.
• 대두 기준으로 환산 시 연간 약 4,300만 톤—미국 생산량의 30%—을 흡수하는 물량.
3. 거시경제적 파급효과: 3–5년 장기 로드맵
3-1. 성장률(GDP)·물가(Inflation)·연준(Fed) 사이클
| 구분 | 2024(실적) | 2025–26(기존 전망) | 프레임워크 반영 수정치 |
|---|---|---|---|
| 실질 GDP 성장률 | 2.1% | 1.4% | 1.9% |
| PCE 물가 상승률 | 3.3% | 2.7% | 2.4% |
| 연준 기준금리(연말) | 4.25% | 3.50% | 3.25% |
• 분석 — 관세 철회로 수입 디플레 효과가 확대돼 물가 압력이 0.3%p 추가 완화된다. 동시에 에너지·농산물 수출 증가가 순수출 기여도를 +0.4%p 끌어올린다. 연준은 2026년까지 총 75bp 완화 의사가 있었으나, 물가 진정으로 25bp 추가 인하 여력이 생긴다.
3-2. 재정·무역수지·달러 인덱스
- 재정수지 — 농업보조금(시장교란보전) 260억 달러 규모가 자동 축소, 연방재정 적자 GDP 대비 0.1%p 개선.
- 무역수지 — 대중적자 3,600억→3,100억 달러로 축소, 전체 경상적자는 0.2%p 개선.
- 달러 인덱스 — 관세 불확실성 해소로 안전통화 프리미엄이 2–3% 하락, 원자재-민감 통화(AUD·BRL)가 상대적 강세.
4. 섹터·산업별 장기 수혜·피해 맵
4-1. 수혜 섹터 TOP 3
- 농산물 밸류체인 — 씨앗(CTVA)·농기계(DE)·저장·운송(BRXT) ETF가 3년 CAGR 8% 상향.
- 재생에너지·풍력 — 희토류 자석 규제 유예로 GE Vernova, Nextera Energy 등이 공급망 리스크 할인폭 축소.
- 물류·컨테이너선 — LA·롱비치항 처리량 YoY +12% 예상, ZIM·Matson 해운 스프레드 개선.
4-2. 상대적 피해·중립 섹터
- 국내 철강·알루미늄 — 관세철회로 수입 증가, Nucor·Alcoa 마진 1.5%p 하락 위험.
- AI·첨단반도체 장비 — 수출통제 유지는 변함없어, Lam Research·Applied Materials의 중국 매출 회복 제한.
- 방위산업 — 미·중 지정학 긴장 완화로 Valuation 프리미엄 축소 가능(그러나 대만·우크라 변수로 완전 약세는 아님).
5. 기업 레벨 분석 ― ‘이기는 플레이북’을 갖춘 종목
아래 표는 필자가 자체 모델(공급망 다변화 점수 + 리스크 조정 EVA)을 적용해 선별한 장기 ‘프레임워크 수혜주’ TOP 6다.
| Ticker | 기업명 | 주요 모멘텀 | 12M 목표주가 Upside |
|---|---|---|---|
| BG | Bunge | 대두 압착·유통 1위, 중국 장기 공급 계약 | +22% |
| DE | Deere & Co. | 농기계 CAPEX 슈퍼사이클 | +18% |
| GEV | GE Vernova(Spin-off) | 풍력모터 희토류 리스크 완화 | +30% |
| NKE | Nike | 소비재 관세 철회로 FOB 비용 감소 | +15% |
| UPS | United Parcel Service | Cross-border volume 회복 | +12% |
| IX | Orix Corp. | 日 리쇼어링 + 달러 약세 수혜 | +25% |
6. 리스크 요인 및 대체 시나리오
- 정치적 후퇴(Backlash) 시나리오
미 의회가 희토류·AI 수출통제 강화 법안을 추진할 경우, 중국은 유예 조치를 철회할 수 있다. ↳ 인플레이션 반등 + 공급망 다시 경직. - 시장 왜곡(Moral Hazard) 리스크
높은 농산물 구매 약정이 CBOT 가격을 과도하게 띄울 경우, 2027년 이후 과잉생산→가격 급락 사이클 재연. - 달러 약세 가속
경상적자 축소·금리 인하 → 달러지수 2–4% 추가 하락 시 해외수익 비중 높은 빅테크 EPS +1%p 상승 vs. 내수 중소형주 마진 압박.
7. 투자전략 로드맵 ― ‘4R 포트폴리오’ 제안
필자는 다음 네 축(4R)으로 향후 12–18개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 Raw Materials — 농산물·희토류 재활용 ETF(URA·REMX) 비중 10%.
- Reshore Winners — 멕시코·베트남 제조 팩토리 수혜 ETF(FEM & VNM) 15%.
- Rate-Sensitive Quality — 금리 인하 수혜 고배당 유틸리티·파이낸셜(BLDR·SCHD) 25%.
- Re-opening Asia — 소비재·공항·물류 인프라: 싱가포르 Changi Airport REIT 예상 IPO 등 10%.
나머지 40%는 S&P500 저비용 인덱스(VOO)·현금·단기채(1–3년)로 유동성을 유지한다. 관세·통제 정책이 예기치 않게 뒤집힐 가능성에 대비한 바이-앤-헤지(buy & hedge) 접근이 필요하다.
8. 결론 ― ‘휴전 이후’는 재분배·재편의 시작이다
이번 프레임워크 합의는 2018년 이후 누적된 관세 불확실성의 상당 부분을 걷어내는 디플레이션적 이벤트다. 물가 안정과 교역 정상화는 연준의 통화완화, 기업 실적·투자 심리 개선으로 이어져 장기 강세장의 연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투자·안보·기술 삼각축에서 경쟁은 지속된다. 희토류·AI 수출통제처럼 전략 품목의 블로킹 게임이 계속되는 한, 시장은 주기적으로 변동성 스파이크를 경험할 것이다.
투자자는 ‘휴전=영구적 화해’가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선별적 리스크 관리·다각화·현금 창출력이 장기 초과수익의 열쇠다. 미·중 휴전 2.0 시대, 승부는 단순 인덱스 추종이 아닌 세부 업종·밸류체인 분석에서 갈린다.
— 이중석 / 경제칼럼니스트·데이터 분석가















